4월 14일까지, 비급여 진료 가능-국고지원금 지급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원장 이영성)은 17일 연구원 컨퍼러스룸에서 '2017년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제도 설명회'를 연구원 컨퍼런스룸에서 개최한다.
NECA는 제4차 국고지원 제한적 의료기술 신청을 4월 14일까지 접수받는다.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제도는 연구단계 의료기술 중 안전성은 확보되었으나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기술을 심사하여 일정기간 진료를 허용하고, 연구를 통해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는 제도이다.
이중 희귀 중증 질환 치료술 및 대체기술이 없는 의료기술에 대해서는 국가에서 별도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설명회에서는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제도의 개요 및 취지 ▲4차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 대상기술(5개)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 신청절차 및 방법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4차 제한적 의료기술 대상 기술은 총 5개로, 신청기술 실시기관으로 선정되면 일정 기간(최대 3년) 비급여 진료가 가능하고, 대상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보상보험 가입료와 시술(검사)지원비 일부 등 연구를 위한 국고지원금이 지급된다.
대상 기술은 당뇨병성 중증 하지허혈에서의 자가 줄기세포 치료술과 저에너지 X선을 이용한 수술 중 방사선 치료, 허혈성 심부전 환자를 위한 경피적 좌심실 분리술, 근골격계 종양의 프로브 기반 냉동제거술, 갑상선암 수술환자에서 BRAF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등이다.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제도는 연구단계 의료기술 중 안전성은 확보되었으나 유효성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기술을 심사하여 일정기간 진료를 허용하고, 연구를 통해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는 제도이다.
이중 희귀 중증 질환 치료술 및 대체기술이 없는 의료기술에 대해서는 국가에서 별도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설명회에서는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제도의 개요 및 취지 ▲4차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 대상기술(5개) ▲제한적 의료기술 평가 신청절차 및 방법 등이 소개될 예정이다.
4차 제한적 의료기술 대상 기술은 총 5개로, 신청기술 실시기관으로 선정되면 일정 기간(최대 3년) 비급여 진료가 가능하고, 대상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보상보험 가입료와 시술(검사)지원비 일부 등 연구를 위한 국고지원금이 지급된다.
대상 기술은 당뇨병성 중증 하지허혈에서의 자가 줄기세포 치료술과 저에너지 X선을 이용한 수술 중 방사선 치료, 허혈성 심부전 환자를 위한 경피적 좌심실 분리술, 근골격계 종양의 프로브 기반 냉동제거술, 갑상선암 수술환자에서 BRAF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