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성의료재단 구정회 이사장 "300병상 규모 지역 밀착형이 현실적"
경상도 일대 11개 병원을 운영 중인 은성의료재단 구정회 이사장에게도 국내 병원 환경은 만만치 않은 듯 하다.
구정회 이사장은 9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운영하면서의 고충과 어려움을 토로했다.
구 이사장은 "일종의 분산 투자개념으로 한개 병원에 올인해 규모를 키우기 보다는 제2, 제3의 병원을 세운 것"이라면서도 또 다른 숨은 이유가 있다고 했다.
그가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기 보다 11개 별도의 병원으로 운영하는 진짜 이유는 의사 등 의료인력을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이사장이 운영하는 총 11개 병원의 병상 수를 합치면 3000병상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커졌지만 전공의 등 의사인력 구하기는 난제 중 난제로 꼽았다.
500병상 규모 이상의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려면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는 물론 펠로우까지 의료인력이 대거 필요한데 부산 등 지방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지방에 위치한 수련병원은 전공의 정원을 채우기 어렵다"면서 "서울에 대형 대학병원으로 몰려가서 서울에서도 일부 대학병원은 구하지 못하는데 지방은 오죽하겠느냐"고 했다.
그는 이어 "누군가 나에게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라고 한들, 의사 인력 부족으로 할 수 있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구 이사장은 인력 이외에도 지역적 한계도 있다고 했다.
그는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려면 난이도가 높은 질환을 다뤄야 가능한데 고난이도 질환을 진료하려면 고급인력에 고가의 장비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전국에서 환자가 모여드는 서울권에선 고난이도 진료에 승부를 걸어 볼 수 있지만 지방의 경우에는 얘기가 다르다고 했다.
그는 "고난이도 진료가 가능한 의사를 채용하는 것도 어렵지만 설령 있다해도 투자대비 수익성을 유지할 만큼 되려면 환자 수가 뒷받침 돼야 하는데 지역 내 환자로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형 종합병원 운영에 대한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병원 현실에선 300여병상 규모로 지역 밀착형 병원을 운영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봤다.
구정회 이사장은 9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전화인터뷰를 통해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을 운영하면서의 고충과 어려움을 토로했다.
구 이사장은 "일종의 분산 투자개념으로 한개 병원에 올인해 규모를 키우기 보다는 제2, 제3의 병원을 세운 것"이라면서도 또 다른 숨은 이유가 있다고 했다.
그가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기 보다 11개 별도의 병원으로 운영하는 진짜 이유는 의사 등 의료인력을 채울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이사장이 운영하는 총 11개 병원의 병상 수를 합치면 3000병상에 달할 정도로 규모가 커졌지만 전공의 등 의사인력 구하기는 난제 중 난제로 꼽았다.
500병상 규모 이상의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려면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는 물론 펠로우까지 의료인력이 대거 필요한데 부산 등 지방에서는 불가능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그는 "지방에 위치한 수련병원은 전공의 정원을 채우기 어렵다"면서 "서울에 대형 대학병원으로 몰려가서 서울에서도 일부 대학병원은 구하지 못하는데 지방은 오죽하겠느냐"고 했다.
그는 이어 "누군가 나에게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라고 한들, 의사 인력 부족으로 할 수 있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구 이사장은 인력 이외에도 지역적 한계도 있다고 했다.
그는 "대형 종합병원을 운영하려면 난이도가 높은 질환을 다뤄야 가능한데 고난이도 질환을 진료하려면 고급인력에 고가의 장비가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수익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전국에서 환자가 모여드는 서울권에선 고난이도 진료에 승부를 걸어 볼 수 있지만 지방의 경우에는 얘기가 다르다고 했다.
그는 "고난이도 진료가 가능한 의사를 채용하는 것도 어렵지만 설령 있다해도 투자대비 수익성을 유지할 만큼 되려면 환자 수가 뒷받침 돼야 하는데 지역 내 환자로는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형 종합병원 운영에 대한 꿈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의 병원 현실에선 300여병상 규모로 지역 밀착형 병원을 운영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