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팀, 뇌출혈 염증반응 억제 효과 입증
나노기술의 발달로 뇌출혈 치료한계를 극복, 사망률을 낮출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 연구팀(제1저자: 강동완, 정한길, 김치경)은 23일 뇌출혈 후 주변조직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면 뇌출혈로 인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팀은 이번 기술을 국내는 물론 국제 PCT(특허협력조약)출원에도 성공했다.
뇌출혈은 뇌혈관의 약한 부분이 터져 발생하며 두통과 의식저하, 반신마비, 발작 등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뇌출혈 후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뇌부종은 자칫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실제 뇌출혈 환자는 1개월 내 40%가, 1년 내 나머지의 50%가 사망하며, 완전한 기능적 회복을 하는 경우는 전체 환자의 12~39% 수준.
특히 혈압을 조절하는 내과적 치료 외에 뚜렷한 치료법이 없어 선택적으로 혈종제거 수술(외과적 치료)이 시행, 극히 일부의 환자에서만 효과가 있었다.
이 교수팀은 뇌출혈 후 주변조직의 염증반응이 뇌부종 및 그에 따른 뇌손상을 일으키고, 이 뇌부종과 뇌손상이 뇌출혈의 사망률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데 주목했다.
연구팀은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하는 '세리아 나노입자'를 치료물질로 택했다.
이어 자체 개발한 세리아 나노입자를 뇌출혈 환경이 조성된 세포에 적용한 결과, 염증억제 및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했다.
뇌출혈 동물모델(생쥐) 정맥주입 결과에서도 세리아 나노입자를 주입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대조군)에 비해 뇌출혈 병변 주변의 대식세포(뇌출혈 후 염증반응 초기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가 감소했으며,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단백질 역시 줄었다.
염증반응이 줄면서 뇌출혈로 인한 뇌부종도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68.4%)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승훈 교수는 "뇌출혈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이전부터 있었고 치료제 개발 역시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뤄졌지만 현재까지도 난항을 겪고 있다"며 "본 연구는 뇌출혈 후 뇌손상의 주요 병태생리를 파악해, 그에 적합한 나노기술을 도입해 뇌출혈의 의학적 치료 공백을 나노기술로 극복한 획기적인 연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교수는 "현재 동물실험에 성공한 단계로 인체에 적용하기 위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질병중심 중개 중점연구),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 등 정부 R&D 지원으로 추진,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국제학술지인 '나노 연구'(Nano Research) 8월호에 게재됐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 연구팀(제1저자: 강동완, 정한길, 김치경)은 23일 뇌출혈 후 주변조직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면 뇌출혈로 인한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교수팀은 이번 기술을 국내는 물론 국제 PCT(특허협력조약)출원에도 성공했다.
뇌출혈은 뇌혈관의 약한 부분이 터져 발생하며 두통과 의식저하, 반신마비, 발작 등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뇌출혈 후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뇌부종은 자칫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실제 뇌출혈 환자는 1개월 내 40%가, 1년 내 나머지의 50%가 사망하며, 완전한 기능적 회복을 하는 경우는 전체 환자의 12~39% 수준.
특히 혈압을 조절하는 내과적 치료 외에 뚜렷한 치료법이 없어 선택적으로 혈종제거 수술(외과적 치료)이 시행, 극히 일부의 환자에서만 효과가 있었다.
이 교수팀은 뇌출혈 후 주변조직의 염증반응이 뇌부종 및 그에 따른 뇌손상을 일으키고, 이 뇌부종과 뇌손상이 뇌출혈의 사망률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는 데 주목했다.
연구팀은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데 탁월한 기능을 하는 '세리아 나노입자'를 치료물질로 택했다.
이어 자체 개발한 세리아 나노입자를 뇌출혈 환경이 조성된 세포에 적용한 결과, 염증억제 및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했다.
뇌출혈 동물모델(생쥐) 정맥주입 결과에서도 세리아 나노입자를 주입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대조군)에 비해 뇌출혈 병변 주변의 대식세포(뇌출혈 후 염증반응 초기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함)가 감소했으며,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단백질 역시 줄었다.
염증반응이 줄면서 뇌출혈로 인한 뇌부종도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68.4%)했다.
연구책임자인 이승훈 교수는 "뇌출혈 치료제에 대한 수요는 이전부터 있었고 치료제 개발 역시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뤄졌지만 현재까지도 난항을 겪고 있다"며 "본 연구는 뇌출혈 후 뇌손상의 주요 병태생리를 파악해, 그에 적합한 나노기술을 도입해 뇌출혈의 의학적 치료 공백을 나노기술로 극복한 획기적인 연구"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교수는 "현재 동물실험에 성공한 단계로 인체에 적용하기 위해선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질병중심 중개 중점연구),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 등 정부 R&D 지원으로 추진, 우수한 성과를 인정받아 국제학술지인 '나노 연구'(Nano Research) 8월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