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줄기세포 극복할 항암제 조합 찾았다"

박양명
발행날짜: 2018-02-27 11:24:30
  • 정재호 교수팀, 2DG‧메트포민과 탑시가르긴 동시 투여 효과 확인

국내 연구진이 난치성 암 환자를 위한 치료제 개발의 단초를 밝혀냈다.

연세의대 외과학교실 정재호 교수팀은 항암제에도 살아남는 암 줄기세포의 생존 원리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항암제 조합을 밝혀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암연구학회에서 발행하는 '임상암연구(Clinical Cancer Research)' 온라인판에 실렸다.

정재호 교수(왼쪽)와 박기청 교수
우리 몸의 각 조직은 줄기세포를 갖고 있어 성장과 재생을 반복한다. 암 조직 내에도 1~2% 정도 줄기세포의 성격을 지닌 암 줄기세포가 존재한다. 자기 재생 능력이 있고, 다른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도 지녀 암 재발과 전이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정 환자군에서는 이러한 암 줄기세포가 활성화되면서 강한 항암제 저항성을 나타내는데, 저항성이 매우 강해 기존 항암요법으로는 치료할 수 없는 난치성 암으로 분류된다.

동물실험 결과 평균 200mm3였던 암 줄기세포 종양은 2DG와 메트포민만 투여했을 때는 20일 뒤 525.67mm3, 30일 뒤 1082.44mm3, 40일 뒤 2963mm3로 커졌다. 탑시가르긴을 함께 투여하자 20일 후 372.67mm3, 30일 후 489.67mm3, 40일 후 520.11mm3로 성장이 억제됐다.

연구진은 암 줄기세포가 갖는 항암제 저항성의 핵심 원인은 세포 내 칼슘이온의 수송과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 'SERCA'에 있다고 밝혔다.

비교군인 일반암 P-231은 2DG+메포민에 항암효과를 보였으나 암 줄기세포인S-231은 2DG+메포민에 항암효과를 보이지 않다가 추가 조성물 탑시가르긴을 동시 투여했을 때 항암효과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일반 암세포는 항암제를 투여하면 과도한 스트레스가 유발되면서 죽음에 이른다. 스트레스 발생에 따라 소포체에서 과다 분비된 칼슘이온이 미토콘드리아에 쌓이면서 세포 자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암 줄기세포는 항암제 투여 시 과도한 칼슘이온 분비를 줄이고, 동시에 과도하게 분비된 칼슘이온을 다시 소포체로 되돌려 넣을 수 있는 단백질 SERCA의 수는 늘려 칼슘이온 농도를 조절해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생존 원리에 착안해 연구팀은 SERCA의 기능저해제인 '탑시가르긴(Thapsigargin)'을 기존 항암효과가 확인된 2DG(2-deoxyglucose)‧메트포민(Metformin)과 함께 투여하는 방법으로 암 줄기세포에 대한 항암효과를 이끌어낸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암 줄기세포뿐만 아니라 항암제 저항성을 지니는 여타 난치성 암에도 적용 가능하다. 다른 난치성 암도 항암치료로 과도한 스트레스가 발생하거나 종양미세환경이 나빠졌을 때 세포질 내 칼슘이온 농도를 조절해 사멸을 피한다는 원리는 같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특허 등록 후 항암제 개발을 위한 기술 이전도 이뤄진 상태다.

정재호 교수는 "암이 진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스트레스, 항암제와 같은 인위적 스트레스에 적응하는 원리에 대한 심층적 이해가 가능해졌다"며 "악성 암 줄기세포를 치료할 수 있는 실험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생존 관련 메커니즘을 더욱 상세히 규명해 암 줄기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실시하고 있는 기초연구사업 지원을 받았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