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찰청 "의료인 신상 파악해 맞춤형 수법으로 접근"

소액결제를 한 적도 없는데 돈이 빠져나갔다는 문자에 황당함을 안고 확인차 전화를 했더니 "명의도용 가능성이 있으니 신고를 대행해주겠다"라며 수사관을 연결, "안전계좌로 이체하면, 확인 후 돌려주겠다"며 계좌이체를 요구받았다.
문제는 결제 대행사의 문자메시지 자체가 보이스피싱의 시작이었던 것. 이 원장은 보이스피싱 조직에 속아 6000여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간호사 등 여성이나 의사, 약사 등 전문직을 상대로 한 보이스피싱이 유행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9일 인천광역시의사회에 따르면 최근 인천치방경찰청 요청으로 의사회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의사, 간호사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을 위한 안내문을 배포했다.
안내문은 "보이스피싱 범인들은 의료인의 직업, 가족 및 친인척 이름 등 신상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맞춤형 수법으로 접근하고 있다"며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경찰청은 의료인 대상 보이스피싱 피해사례를 ▲대출 상환형 ▲결제대행형 ▲계좌이체형 ▲기관 사칭형 등 4가지로 분류했다.
인천지방경찰청 수사과 관계자는 "인천지역만 놓고 봤을 때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의사, 약사, 간호사 등 보건의료업 종사자는 대략 6%가 넘는다"며 "전문직이라고 예외가 아니다. 특히 여성 피해자가 의외로 많다"고 말했다.
이어 "안내문에서 분류하고 있는 4가지 유형 중 검찰이나 경찰 등 기관 사칭형과 대출을 이용한 대출 상환형 피해가 크고 결제대행형은 최근 등장했다"고 덧붙였다.

인천 B병원 간호사는 캐피털사 직원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인에게 속아 5000여만원을 계좌이체했다. 이 범인은 "대환대출을 하면 저금리 대출을 진행해주겠다"고 간호사를 속였다.
수사과 관계자는 "의사나 간호사 등 보건업 종사자는 업무가 바쁘다 보니 오히려 보이스피싱 관련 뉴스를 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며 "범죄 유형이 많이 알려져 있지만 다시 한번 유형을 숙지하고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