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지바이오, 소재·공정·장비 등 전 분야 국산화
시지바이오(대표 유현승)가 지난 6일 식약처로부터 3D 프린팅 기반 맞춤형 인공광대뼈 제조허가를 획득했다.
해당 인공광대뼈는 시지바이오가 특허 받은 생체활성 결정화 유리 소재(BGS-7)를 3D 프린팅 기술에 접목해 자체 개발했다.
특히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3D 프린팅 소재부터 공정·장비에 이르는 모든 분야를 국산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반면 현재 사업화됐거나 연구되고 있는 금속·폴리머 기반 맞춤형 의료기기들은 외국산 소재와 장비를 활용해 최종 제품만 국산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생체활성 결정화 유리 소재는 고분자나 금속 소재와 달리 체내 이식됐을 때 골과 직접 결합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골과 직접 결합하는 다른 바이오세라믹 소재에 비해서도 뼈와 더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3D 프린팅 맞춤형 인공광대뼈는 이물 반응 없이 뼈와 빠르고 강하게 유합되기 때문에 재건수술 부작용 및 합병증을 최소화해 환자 부담을 줄여주고 심미성은 향상시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유현승 대표는 “시지바이오 3D 프린팅 인공광대뼈는 2000년부터 9년간 산업자원통상부 지원을 받아 개발한 생체활성 원천소재(BGS-7)를 기반으로 제조하는 인공광대뼈로 뼈와 가장 친화적인 바이오 세라믹을 소재로 이용해 만든 3D프린팅 골대체제는 국내 최초”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도 다양한 골 결손 부위에 적용할 있는 제품 개발해 통해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인 의료용 바이오세라믹 3D 프린팅 임플란트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밝혔다.
해당 인공광대뼈는 시지바이오가 특허 받은 생체활성 결정화 유리 소재(BGS-7)를 3D 프린팅 기술에 접목해 자체 개발했다.
특히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한 3D 프린팅 소재부터 공정·장비에 이르는 모든 분야를 국산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반면 현재 사업화됐거나 연구되고 있는 금속·폴리머 기반 맞춤형 의료기기들은 외국산 소재와 장비를 활용해 최종 제품만 국산화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생체활성 결정화 유리 소재는 고분자나 금속 소재와 달리 체내 이식됐을 때 골과 직접 결합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골과 직접 결합하는 다른 바이오세라믹 소재에 비해서도 뼈와 더 강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3D 프린팅 맞춤형 인공광대뼈는 이물 반응 없이 뼈와 빠르고 강하게 유합되기 때문에 재건수술 부작용 및 합병증을 최소화해 환자 부담을 줄여주고 심미성은 향상시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유현승 대표는 “시지바이오 3D 프린팅 인공광대뼈는 2000년부터 9년간 산업자원통상부 지원을 받아 개발한 생체활성 원천소재(BGS-7)를 기반으로 제조하는 인공광대뼈로 뼈와 가장 친화적인 바이오 세라믹을 소재로 이용해 만든 3D프린팅 골대체제는 국내 최초”라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도 다양한 골 결손 부위에 적용할 있는 제품 개발해 통해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인 의료용 바이오세라믹 3D 프린팅 임플란트시장을 선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