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분 유예·통합 보고 부담 완화 "개인정보 등 근본적 문제 여전"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이 18일 가동되면서 일선 병의원들도 이에 맞춰 본격적인 준비에 들어갔다.
우선 처분이 유예되고 통합 보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당장의 부담이 줄어든 만큼 큰 혼란은 없는 상황.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이후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8일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가동하고 전국 병의원들에 이에 대한 보고를 주문했다.
이에 따라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전국 모든 병의원들은 18일부터 구입 내역과 처방 내력, 잔존량을 모두 시스템을 통해 보고해야 한다.
시행 첫 날 일선 병의원들은 우선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적응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처음으로 도입되는 시스템인데다 위반시 처분 강도가 세다는 점에서 우선 처분 유예기간을 활용해 시스템을 익히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 것.
이로 인해 우려했던 혼란이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분위기는 여전히 무거운 상태다.
A병원 원장은 "이제 시작된 제도인데 벌써부터 혼란이 있을 것이 있겠냐"며 "우선 담당 직원을 통해 시스템을 구석구석 확인하며 손에 익히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하나만 실수해도 워낙 처분이 세니 더 세심하게 살피라는 지시를 내려 놓은 상황"이라며 "우선 한두달은 적응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병의원들은 당장 처분이 내려지지 않는다는 것에 우선은 안도하고 있다. 당장 시스템을 익힐 시간은 마련이 됐기 때문이다.
B의원 원장은 "병원급이야 숙달된 직원을 배치할 수 있겠지만 우리 같은 경우 사실상 돌려막기로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며 "당장 처분이 내려지는 것은 아니니 배울 시간은 있지 않겠느냐"고 털어놨다.
이어 그는 "보고도 당장은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니 그나마 다행스럽기는 하다"며 "하지만 언제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니 답답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처럼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여전히 답답한 심정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높다.
업무 부담을 비롯해 개인정보 등에 대한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의원들의 부담은 일선 병의원보다 가중되고 있다.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이상훈 회장은 "당장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환자 정보에 대한 부담감이 있다는 점에서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문턱이 높아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문제"라며 "결국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해법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그는 "향정신성 의약품이 꼭 필요한 환자들까지 처방이 어려워지는 문제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라며 "제도의 취지를 이해하더라도 악화가 양화를 구축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우선 처분이 유예되고 통합 보고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당장의 부담이 줄어든 만큼 큰 혼란은 없는 상황.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여전하다는 점에서 이후 상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8일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을 가동하고 전국 병의원들에 이에 대한 보고를 주문했다.
이에 따라 향정신성 의약품을 처방하는 전국 모든 병의원들은 18일부터 구입 내역과 처방 내력, 잔존량을 모두 시스템을 통해 보고해야 한다.
시행 첫 날 일선 병의원들은 우선 마약류 통합 관리 시스템에 적응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처음으로 도입되는 시스템인데다 위반시 처분 강도가 세다는 점에서 우선 처분 유예기간을 활용해 시스템을 익히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는 것.
이로 인해 우려했던 혼란이 나타나고 있지는 않지만 분위기는 여전히 무거운 상태다.
A병원 원장은 "이제 시작된 제도인데 벌써부터 혼란이 있을 것이 있겠냐"며 "우선 담당 직원을 통해 시스템을 구석구석 확인하며 손에 익히는데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하나만 실수해도 워낙 처분이 세니 더 세심하게 살피라는 지시를 내려 놓은 상황"이라며 "우선 한두달은 적응하는데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대부분의 병의원들은 당장 처분이 내려지지 않는다는 것에 우선은 안도하고 있다. 당장 시스템을 익힐 시간은 마련이 됐기 때문이다.
B의원 원장은 "병원급이야 숙달된 직원을 배치할 수 있겠지만 우리 같은 경우 사실상 돌려막기로 자료를 입력해야 한다"며 "당장 처분이 내려지는 것은 아니니 배울 시간은 있지 않겠느냐"고 털어놨다.
이어 그는 "보고도 당장은 실시간으로 적용되는 것이 아니니 그나마 다행스럽기는 하다"며 "하지만 언제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니 답답한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처럼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여전히 답답한 심정을 토로하는 목소리가 높다.
업무 부담을 비롯해 개인정보 등에 대한 문제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특히 정신건강의학과 의원들의 부담은 일선 병의원보다 가중되고 있다.
정신건강의학과의사회 이상훈 회장은 "당장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환자 정보에 대한 부담감이 있다는 점에서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문턱이 높아지는 것은 불을 보듯 뻔한 문제"라며 "결국 근본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해법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그는 "향정신성 의약품이 꼭 필요한 환자들까지 처방이 어려워지는 문제는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라며 "제도의 취지를 이해하더라도 악화가 양화를 구축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