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대 연세대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역임…발인예배 6월 1일

1927년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태어난 고인은 경상남도 진주사범학교를 거쳐 1947년 세브란스의대(現 연세의대)에 입학했다. 대학생활 중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고초를 겪으며 1953년 졸업증서를 받았다.
졸업 후 도미(渡美)해 오레곤의대 해부병리학 레지던트 과정을 밟은 고인은 미국 오레곤대학 및 시카고 마운트사이나이병원에서 임상병리학 분야 연수를 마쳤으며 1958년부터 2년 간 미국 시카고의대 병리학 강사와 조교수를 역임했다.
1959년 귀국해 수도의대와 국립의료원에 잠시 몸 담았으며 1963년부터 모교인 연세의대에서 일했다.
'한국의 심부진균증 양상' 등 의학논문 200여편을 통해 대한민국 진단병리학 분야의 기초를 완성한 고인은 연세의대 교무과장과 병리학교실 주임교수, 제19대 연세의대 학장, 제9대 연세대학교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을 차례로 역임했다.
특히 사료정리를 통한 역사편찬 사업에 노력해 연세대학교 80년사와 연세의대 100년사, 한국연대의학사(의학교육편) 등 대한민국 의료계 흐름을 정리했다.
고인은 대한병리학회장, 대한의학협회 이사, 한국 전자현미경학회장 등을 역임해 연관 학문 발전에 기여했으며 사립대학교 의료원장협의회 회장으로서 대한민국 의료의 기틀을 다졌다.
정년퇴임 후에는 강남 및 분당차병원 원장과 포천중문의대 총장직을 역임했다.
고인의 빈소는 연세장례식장 특1호실(02-2227-7550)에 마련됐으며, 장례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장으로 거행된다. 발인예배는 6월 1일(금) 오전 7시 30분이며, 경기도 여주시 '남한강 공원묘원'에 안치될 예정이다.
유족으로 아들 진수(前 Bank of America 상무)씨, 딸 수영(아주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수현(재활의학과 전문의)·윤경 씨, 사위 현재요(정형외과 전문의)·이진희(성형외과 전문의)·김도완 씨, 며느리 박지현 씨, 손자 이동재 씨, 손녀 이유진 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