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사업 홍보 부족에 현장 혼선 심각 "해당 병원 아닌데도 막무가내 요구"
일차의료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이 부족한 홍보로 인해 의료 현장에서도 혼선이 벌어지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들까지 본인부담 인하 소식만을 강조하고 대상 병의원들이 제한적이라는 내용을 알리지 않아 일선 원장들이 환자들의 요구에 진땀을 흘리고 있는 것.
의사회 임원을 지낸 A내과의원 원장은 23일 "벌써 이번 달에만 만관제 적용을 왜 안해주냐는 항의를 몇 번이나 들었다"며 "우리 의원은 해당 사항이 없다고 설명해도 왜 안하느냐는 대답만이 돌아오니 답답할 노릇"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복지부도 그렇고 지자체에서 만관제 자체만 홍보를 하니 마치 전국 모든 의원에서 다 되는 것처럼 혼동하는 환자가 많은 것 같다"며 "마치 내가 돈을 더 받으려 꼼수를 쓰는 것 처럼 생각하는데 설명하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만관제는 2차까지 진행된 공모를 통해 전국 58개 지역 1807개 의원이 시범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복지부는 3차까지 이어지는 공모를 통해 대상을 더 늘린다는 방침. 현재 등록된 고혈압, 당뇨 환자들도 이미 1만 5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만관제에 대한 홍보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지만 이 사업 자체가 시범사업이라는 것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이미 등록한 환자들이 본인 부담금이 10%로 줄어든 것을 적극적으로 알리면서 일선 원장들과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의료단체 임원인 B내과의원 원장은 "환자들에게 물어보니 환우회 등 환자들이 모이는 각종 커뮤니티에 만관제 등록 사례들이 공유되고 있는 것 같다"며 "본인부담금이 많이 낮아졌으니 빨리 등록하라는 권유의 글이 많은 듯 하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본인부담금 차이로 인해 만관제 사업을 진행하지 않는 병의원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환우회나 지역 커뮤니티에는 만관제 등록을 하러 갔지만 자신이 다니는 의원은 아예 이를 적용해 주지 않고 있다는 글들이 계속해서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한 반응들은 대부분이 '수익'에 맞춰져 있는 것도 사실. 일부에서는 해당 의원들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며 돈벌이를 위한 것이라고 매도하고 있다.
B의원 원장은 "사실 만관제는 단골 환자가 적고 아직 자리잡지 못한 의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이라며 "이미 자리를 잡고 안정된 환자군을 가지고 있으면 굳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물리적으로는 손해"라고 토로했다.
아울러 그는 "등록을 원하는 환자가 있어 친절하게 인근의 대상 의원도 안내해 줬는데 지역 커뮤니티에 올라온 비난 글을 보니 속이 뒤집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복지부에서 사업만 홍보하고 제대로 정보를 전달하지 않으니 이렇게 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들까지 본인부담 인하 소식만을 강조하고 대상 병의원들이 제한적이라는 내용을 알리지 않아 일선 원장들이 환자들의 요구에 진땀을 흘리고 있는 것.
의사회 임원을 지낸 A내과의원 원장은 23일 "벌써 이번 달에만 만관제 적용을 왜 안해주냐는 항의를 몇 번이나 들었다"며 "우리 의원은 해당 사항이 없다고 설명해도 왜 안하느냐는 대답만이 돌아오니 답답할 노릇"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이어 "복지부도 그렇고 지자체에서 만관제 자체만 홍보를 하니 마치 전국 모든 의원에서 다 되는 것처럼 혼동하는 환자가 많은 것 같다"며 "마치 내가 돈을 더 받으려 꼼수를 쓰는 것 처럼 생각하는데 설명하는데도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만관제는 2차까지 진행된 공모를 통해 전국 58개 지역 1807개 의원이 시범사업을 진행중에 있다.
복지부는 3차까지 이어지는 공모를 통해 대상을 더 늘린다는 방침. 현재 등록된 고혈압, 당뇨 환자들도 이미 1만 5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만관제에 대한 홍보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지만 이 사업 자체가 시범사업이라는 것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더욱이 이미 등록한 환자들이 본인 부담금이 10%로 줄어든 것을 적극적으로 알리면서 일선 원장들과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의료단체 임원인 B내과의원 원장은 "환자들에게 물어보니 환우회 등 환자들이 모이는 각종 커뮤니티에 만관제 등록 사례들이 공유되고 있는 것 같다"며 "본인부담금이 많이 낮아졌으니 빨리 등록하라는 권유의 글이 많은 듯 하다"고 귀띔했다.
하지만 문제는 이러한 본인부담금 차이로 인해 만관제 사업을 진행하지 않는 병의원에 대한 불만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환우회나 지역 커뮤니티에는 만관제 등록을 하러 갔지만 자신이 다니는 의원은 아예 이를 적용해 주지 않고 있다는 글들이 계속해서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대한 반응들은 대부분이 '수익'에 맞춰져 있는 것도 사실. 일부에서는 해당 의원들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며 돈벌이를 위한 것이라고 매도하고 있다.
B의원 원장은 "사실 만관제는 단골 환자가 적고 아직 자리잡지 못한 의원들에게 혜택이 돌아가는 사업"이라며 "이미 자리를 잡고 안정된 환자군을 가지고 있으면 굳이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물리적으로는 손해"라고 토로했다.
아울러 그는 "등록을 원하는 환자가 있어 친절하게 인근의 대상 의원도 안내해 줬는데 지역 커뮤니티에 올라온 비난 글을 보니 속이 뒤집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복지부에서 사업만 홍보하고 제대로 정보를 전달하지 않으니 이렇게 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