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내과전공의 4년차 공백 누가 채우나

발행날짜: 2019-05-01 06:00:59
  • 기획대형병원, 펠로우로 대체…중소 수련병원 교수 투입 불가피

|기획| 2020년 내과 전공의 3년제 시대 전망

2020년, 내과 전공의 4년차가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면서 본격적인 내과 전공의 3년제 시대로 넘어간다. 내과 의료인력의 대대적인 패러다임 전환이 예상되는 가운데 <메디칼타임즈>가 기대와 우려, 전망을 짚어봤다. <편집자주>

<상> 내과 3년제 시대 '입원전담의'가 이끈다
<중>사라진 4년차, 의료공백 대비가 필요하다
2020년 본격적인 내과 전공의 3년제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옴에 따라 내과 전공의 4년차의 빈자리를 어떻게 채울 것인지 대책이 시급해졌다.

특히 '병동'케어를 전적으로 전공의에게 의존하고 있는 한국의 수련병원 실정을 고려할 때 전공의 수가 1/4 줄어드는 만큼 병동은 무의촌 상태에 빠지는 게 아닌가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당장 지난 4월 26~27일 전국의 내과 수련병원 1, 2년차 전공의들은 만만찮은 1박 2일을 보냈다. 3, 4년차가 동시에 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연수교육을 받고자 진료현장에서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제부터다. 올해 연말 전문의 시험시즌에 돌입해 진료현장에서 3, 4년차 전공의가 근무 비중을 줄이기 시작하면 그 여파가 상당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수도권 수련병원 한 내과 전공의 김고단(가명·2년차)씨는 "이번 학회 기간에는 하루 이틀이니 버텼지만 하반기 전문의 시험으로 빠져나간 3, 4년차 선배들의 빈자리를 채우기는 만만찮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법 규정에는 2월말까지 전공의 수련을 받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지만 전공의 연차 규정상 최대 30일을 이어서 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붙이면 약 1개월하고도 약15일 정도의 시간을 낼 수 있다.

즉, 3~4년차 전공의 입장에선 한달이상의 휴가를 내고 전문의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는 반면 1~2년차 전공의에겐 혹독한 시간이 되는 셈이다.

공식적으로는 서류상에는 1개월 내외의 연차를 소진하는 것으로 처리하겠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전문의 시험을 치른 이후에는 3, 4년차 전공의들은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에 빠지기 때문에 공백이 불가피하다는게 병원계 중론이다.

김씨는 "그나마 대형 수련병원은 펠로우 인력으로 버티겠지만 그마저도 여의치 못한 병원은 심각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그렇지 않아도 대체인력 관련해 내부 회의를 했는데 내과 과장까지 당직 근무를 하는 상황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귀띔했다.

지방의 내과 전공의 박피곤(가명, 1년차)씨는 "하반기부터 내년 3월, 신입 전공의가 선발 이전까지 어떻게 버틸지 벌써부터 걱정스럽다"며 "교수들까지 당직을 선다고 해도 한계가 있고 결국 1, 2년차 업무 로딩이 상당할 수 밖에 없다. 주80시간을 엄수하는 과정에서 자칫 환자진료 공백으로 의료사고로 이어지는게 아닌지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손상호 부회장은 "1~2일 진행하는 연수교육에서도 의료현장에서는 난리인데 하반기 전문의 시험 준비 시즌에는 어떻게 될지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새어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2020년, 당장 내년부터 내과 1~3년차만으로 기존의 의료현장이 돌아갈 수 있을까' '내과학회가 내세웠던 역량중심 수련을 유지하는데 차질은 없을 것인가'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복안으로 내과학회는 '전공의 지도감독 보고서'를 통해 고강도 평가시스템 구축을 준비 중이다. 강력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위와 같은 우려를 잠재우겠다는 계획이다.

내과학회 엄중식 수련이사(길병원)는 "매년 5월, 전공의 지도감독 보고서를 제출하면 이를 기반으로 각 병원의 수련실태를 평가해 필요한 경우 현장평가를 나가는데 올해부터 평가기준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즉, 학회 차원의 수련실태 평가 잣대를 강화함으로써 내과 3년제 시행으로 혹여나 발생할 수 있는 내과 전공의들의 역량중심 수련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그는 먼저 "내과 3년제 논의를 시작할 때 원칙으로 정한 것이 '수련의 질에만 집중하자'는 것이었다"며 "각 병원의 경영악화, 진료공백 등을 고려하는 순간 역량중심 수련 논의 자체가 어려워진다"고 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전공의 수련의 문제는 업무량 자체가 지나치게 많고 특정 환자 진료에만 집중하는 등 병원의 필요에 따라 의료인력 개념으로 접근했다는 사실"이라며 "앞으로는 '전공의 역량 강화'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그 이상의 업무는 줄여주자는 게 학회의 입장"라고 말했다.

이밖에도 내과학회는 전공의 진료공백에 대한 대책으로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국방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불발됐지만 3년간 수련을 마친 전공의에게 일종의 '준면허(eligible license)'를 주고 전문의 자격 시험은 수련 종료 이후 1~2년내에 통과하면 되는 식으로 전환하는 것도 논의한 바 있다.

또한 정부가 전공의 수련비용을 부담하는 것도 내과학회가 지속적으로 주장하는 바이다.

엄 이사는 "전문의 양성은 국민의 건강권과 직결된 만큼 정부가 비용을 지불해야한다"며 "이와 관련해 복지부와 거듭 협의하고 있는데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복지부 의료자원과 관계자는 "전공의 수련 비용을 정부가 지불하는 문제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전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해외와는 상황이 달라 외국 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는 문제가 있다"며 "특히 수련비용 지불은 지재부와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다만 그는 "전공의가 역량중심 수련을 받을 수 있는 수련환경을 구축하는데 있어 각 학회와 협의를 통해 정부가 전공의 교육과정을 표준화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