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터 ‘셰어소스’…의료진 원격으로 환자 치료결과 확인
박스터(대표 현동욱)가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치료 환경 개선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1일 ‘PD 이노베이션 세미나 2019’를 부산 롯데호텔에서 개최했다.
신장전문의 45명이 참석한 세미나에서는 ▲자동복막투석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미첼 로즈너 버지니아의대 교수) ▲자동복막투석 활성화 방안-응급 복막투석-가정투석(이동원 부산의대 교수)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원격관리(이진호 봉생병원 신장내과 진료과장)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자동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 환자관리를 사용하고 실효성에 대해 다수 논문을 발표한 로즈너 교수가 자동복막투석 치료 환경 개선 대안으로 원격 환자관리를 제시해 주목 받았다.
로즈너 박사는 발표를 통해 “최근 연구결과 복막투석이 나이와 상관없이 혈액투석과 비슷한 생존율을 보였으며 경제적인 이점이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홍콩 멕시코와 같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복막투석 시행률이 10%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즈너 교수는 자동복막투석 치료 장벽의 주요 요인으로 합병증에 대한 우려와 의료진이 아닌 환자 자신이 직접 치료를 주도해야하는 치료 특성 등을 꼽았다.
자동복막투석은 혈액투석과 달리 가정 내 투석이 가능해 직장이나 학업 등 사회생활이 혈액투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하지만 초기에 투석 방식을 결정함에 있어 의료진 없이 스스로 투석을 진행한다는 점이 환자에게는 심리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로즈너 교수는 의료진이 원거리에 있는 환자 투석 상태를 확인해 이를 바탕으로 환자를 관리하는 ‘원격 환자관리’가 이러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로즈너 교수에 따르면 원격 환자관리는 물리적 거리를 초월한 환자와 의료진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투석 환자의 독립성·수용성을 극대화한다.
뿐만 아니라 복막염과 같은 합병증이나 전해질 장애처럼 발생 가능한 문제 상태를 빠르게 파악해 입원비 절감 등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로즈너 교수는 “세계적으로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원격관리 효과에 대한 연구 규모는 이제 시작 단계이지만 계속해서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으며 시행하는 환자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지표는 가정 내 자동복막투석에 있어 원격 환자관리가 치료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즈너 교수에 이어 이진호 봉생병원 신장내과 진료과장은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원격관리’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클라우드 기반 환자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활용한 자동복막투석 환자관리 경험을 공유했다.
현재 부산에 소재한 대학병원 중 3곳에 클라우드 기반 원격 자동복막투석 관리플랫폼인 박스터 ‘셰어소스’(Sharesource)가 도입돼 있다.
의료진은 환자 상황에 맞춰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항목과 지표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환자가 투석을 진행하면 데이터가 자동으로 의료진에게 전송돼 의료진이 환자 투석 상태와 결과를 확인하고 분석해 대면 진료 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진호 진료과장은 “원격 환자관리를 통한 자동복막투석 관리는 병원에 매주 3회 이상 정기적으로 방문이 어려운 원거리 거주자, 학생이나 직장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자동복막투석은 수면 시간에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환자가 투석 결과가 적정한지, 혹은 과정에 문제는 없었는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 했을 때 대처가 느릴 수도 있다”며 “의료진이 투석 결과를 원격으로 확인하면 환자가 주기적으로 투석을 성실히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 불성실한 투석을 예방할 수 있고 카테터 상태를 통해 이상 징후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는 등 환자 투석관리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스터는 앞서 지난 2월 원격 자동복막투석 관리플랫폼 ‘셰어소스’를 국내 공식 출시했다.
가정에서 환자가 자동복막투석 치료를 진행하면 치료 후 그 결과가 원격으로 셰어소스 플랫폼을 통해 의료진에게 전송된다.
의료진은 셰어소스 플랫폼에서 환자 치료결과를 검토·분석·평가해 적시에 환자 관리가 가능하고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해 체계적인 치료 방향 설정도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서울대병원·부산대병원·김원묵기념 봉생병원 등 전국 11개 종합병원에서 자동복막투석 환자 치료에 셰어소스를 활용하고 있다.
신장전문의 45명이 참석한 세미나에서는 ▲자동복막투석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전략(미첼 로즈너 버지니아의대 교수) ▲자동복막투석 활성화 방안-응급 복막투석-가정투석(이동원 부산의대 교수)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원격관리(이진호 봉생병원 신장내과 진료과장)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됐다.
특히 자동복막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원격 환자관리를 사용하고 실효성에 대해 다수 논문을 발표한 로즈너 교수가 자동복막투석 치료 환경 개선 대안으로 원격 환자관리를 제시해 주목 받았다.
로즈너 박사는 발표를 통해 “최근 연구결과 복막투석이 나이와 상관없이 혈액투석과 비슷한 생존율을 보였으며 경제적인 이점이 뚜렷함에도 불구하고 홍콩 멕시코와 같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복막투석 시행률이 10%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로즈너 교수는 자동복막투석 치료 장벽의 주요 요인으로 합병증에 대한 우려와 의료진이 아닌 환자 자신이 직접 치료를 주도해야하는 치료 특성 등을 꼽았다.
자동복막투석은 혈액투석과 달리 가정 내 투석이 가능해 직장이나 학업 등 사회생활이 혈액투석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하지만 초기에 투석 방식을 결정함에 있어 의료진 없이 스스로 투석을 진행한다는 점이 환자에게는 심리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
로즈너 교수는 의료진이 원거리에 있는 환자 투석 상태를 확인해 이를 바탕으로 환자를 관리하는 ‘원격 환자관리’가 이러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로즈너 교수에 따르면 원격 환자관리는 물리적 거리를 초월한 환자와 의료진 간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투석 환자의 독립성·수용성을 극대화한다.
뿐만 아니라 복막염과 같은 합병증이나 전해질 장애처럼 발생 가능한 문제 상태를 빠르게 파악해 입원비 절감 등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로즈너 교수는 “세계적으로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원격관리 효과에 대한 연구 규모는 이제 시작 단계이지만 계속해서 데이터가 축적되고 있으며 시행하는 환자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같은 지표는 가정 내 자동복막투석에 있어 원격 환자관리가 치료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뒷받침해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로즈너 교수에 이어 이진호 봉생병원 신장내과 진료과장은 ‘자동복막투석 환자의 원격관리’를 주제로 발표하면서 클라우드 기반 환자 데이터 관리 플랫폼을 활용한 자동복막투석 환자관리 경험을 공유했다.
현재 부산에 소재한 대학병원 중 3곳에 클라우드 기반 원격 자동복막투석 관리플랫폼인 박스터 ‘셰어소스’(Sharesource)가 도입돼 있다.
의료진은 환자 상황에 맞춰 모니터링 하고자 하는 항목과 지표를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환자가 투석을 진행하면 데이터가 자동으로 의료진에게 전송돼 의료진이 환자 투석 상태와 결과를 확인하고 분석해 대면 진료 시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이진호 진료과장은 “원격 환자관리를 통한 자동복막투석 관리는 병원에 매주 3회 이상 정기적으로 방문이 어려운 원거리 거주자, 학생이나 직장인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자동복막투석은 수면 시간에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지만 환자가 투석 결과가 적정한지, 혹은 과정에 문제는 없었는지 스스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 했을 때 대처가 느릴 수도 있다”며 “의료진이 투석 결과를 원격으로 확인하면 환자가 주기적으로 투석을 성실히 하고 있는지 알 수 있어 불성실한 투석을 예방할 수 있고 카테터 상태를 통해 이상 징후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는 등 환자 투석관리를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스터는 앞서 지난 2월 원격 자동복막투석 관리플랫폼 ‘셰어소스’를 국내 공식 출시했다.
가정에서 환자가 자동복막투석 치료를 진행하면 치료 후 그 결과가 원격으로 셰어소스 플랫폼을 통해 의료진에게 전송된다.
의료진은 셰어소스 플랫폼에서 환자 치료결과를 검토·분석·평가해 적시에 환자 관리가 가능하고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을 통해 체계적인 치료 방향 설정도 가능하다.
현재 국내에서는 서울대병원·부산대병원·김원묵기념 봉생병원 등 전국 11개 종합병원에서 자동복막투석 환자 치료에 셰어소스를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