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안전관리원,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1년 통계 산출
"마약류 사용 환자 1190만명, 국민 4.4명당 1명꼴"
의료용 마약류의 사용이 의원급에서 가장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원급은 종합병원과 병원, 요양병원의 합계 처방건수보다는 떨어지지만 이들 대비 사용(투약)량이 더 많아 무분별한 처방 우려 목소리도 나온다.
28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따르면 관리원은 최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운영 1년간의 현황을 집계하고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은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의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전체 취급사항(수출입/제조/판매)을 보고, 저장,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2013년에서 2014년 파일럿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2015년 의료용 마약 의약품 시범사업, 2016년 향정신성의약품 시범사업 등을 거쳐 2018년 5월 18일 마약류 취급 보고 제도가 정식 시행됐다.
관리원이 집계(2018년 5월 1일~2019년 5월 22일)한 자료를 보면 시스템 가입자 수는 4만 9260기관이고 총 보고건수는 1억 2662만 8982건, 시스템과 연동된 연계(자동) 보고 건수는 1억 1103만 84728건, 일보고 건수는 일 40~50만건이었다.
취급 보고 내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조제보고는 7589만 7150건(65%) ▲투약보고 2761만 1316건(23.6%) ▲판매/구입 보고 1065만 5899건(9%) ▲기타 양도, 양수 폐기 보고 등(2.4%) 순이었다.
의료용 마약류 사용분석(2018년 7월~12월)을 보면 전체 처방 의사수, 환자 수, 처방 건수, 사용량 모두 의원급이 압도적이었다.
기관별 현황을 보면 마약류 처방 의료기관은 총 3만 6199곳이었고 이중 의원이 3만 1682곳으로 전체의 87.5%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병원 1928곳, 요양병원 1602곳, 종합병원 360곳이었다.
처방의사 수는 전체 9만 2620명으로 이중 의원급이 4만 1309명, 종합병원이 3만 6433명, 병원이 1만 963명, 요양병원이 6439명이었다.
한편 처방 건수는 총 4647만 6201건으로 이중 의원급이 2074만 4774건으로 44.6%를 차지했고 이어 종합병원이 1590만 9026건, 병원이 598만 359건, 요양병원은 380만 3875건이었다.
사용량(단위=정, 개)에서도 의원급이 과반을 넘어섰다.
총 사용량 7억 6220만 4081개 중 의원급만 4억 3884만 8256개로 57.6%를 차지했다. 이어 종합병원급이 2억 1882만 9242개(28.7%), 병원이 6742만 116개(8.8%), 요양병원이 3611만 9480개(4.7%)를 사용했다.
의원급의 처방량 합계(2074만 4774건)보다 종합병원과 병원, 요양병원 처방량 합계(2569만 3260건)가 더 많았지만 의원급의 총 사용량은 전체의 57.6%로 기타 기관을 다 합친 것보다 많았다. 의원급의 마약류 사용이 빈번하다는 뜻이다.
2018년 하반기 기준 의료용 마약류 사용 환자는 1190만명으로 국민 4.4명당 1명꼴로 집계됐다.
의료용 마약류 사용 환자 중 여성은 676만명(58.4%), 남성은 481만명(41.6%)으로 여성이 16.8%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환자 비율을 보면 50대가 21.6%로 최다를, 이어 40대가 20.6%, 60대가 17.5%, 30대가 12.6%, 70대가 11.5%, 20대가 6.7%, 80대가 5.8%의 순이었다.
효능 분류별 환자 수는 마취/진통제가 499만명으로 1위를, 이어 최면진정제가 471만명으로 2위였고, 이후 항불안제(167만명), 진통제(162만명), 식욕억제제(91만명), 진해제(56만명), ADHD치료제(9만명), 항뇌전증제(2만명) 순이었다.
의약품안전관리원은 이같은 취급정보 통계, 분석, 활용 기법을 토대로 향후 선별, 집중 감시 대상을 추린다는 계획이다.
유명식 마약류통합정보관리센터장은 "마약류 생산과 유통, 사용 단계에 걸친 전주기 정책 통계를 산출하겠다"며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전산정보와 연계해 사망, 허위번호 사용 환자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프로포폴이나 식욕억제제, 졸피뎀 등 약물을 과다 처방받은 환자들을 분석해 그들이 많이 가는 의료기관을 찾아내겠다"며 "빅데이터를 통해 환자에게는 다른 환자와의 투약 비교 통계를 제공해 투약 자율억제를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의원급은 종합병원과 병원, 요양병원의 합계 처방건수보다는 떨어지지만 이들 대비 사용(투약)량이 더 많아 무분별한 처방 우려 목소리도 나온다.
28일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에 따르면 관리원은 최근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 운영 1년간의 현황을 집계하고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은 마약류취급자 또는 마약류취급승인자의 마약, 향정신성의약품 전체 취급사항(수출입/제조/판매)을 보고, 저장,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다.
해당 시스템은 2013년에서 2014년 파일럿 시스템 구축을 시작으로 2015년 의료용 마약 의약품 시범사업, 2016년 향정신성의약품 시범사업 등을 거쳐 2018년 5월 18일 마약류 취급 보고 제도가 정식 시행됐다.
관리원이 집계(2018년 5월 1일~2019년 5월 22일)한 자료를 보면 시스템 가입자 수는 4만 9260기관이고 총 보고건수는 1억 2662만 8982건, 시스템과 연동된 연계(자동) 보고 건수는 1억 1103만 84728건, 일보고 건수는 일 40~50만건이었다.
취급 보고 내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조제보고는 7589만 7150건(65%) ▲투약보고 2761만 1316건(23.6%) ▲판매/구입 보고 1065만 5899건(9%) ▲기타 양도, 양수 폐기 보고 등(2.4%) 순이었다.
의료용 마약류 사용분석(2018년 7월~12월)을 보면 전체 처방 의사수, 환자 수, 처방 건수, 사용량 모두 의원급이 압도적이었다.
기관별 현황을 보면 마약류 처방 의료기관은 총 3만 6199곳이었고 이중 의원이 3만 1682곳으로 전체의 87.5%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병원 1928곳, 요양병원 1602곳, 종합병원 360곳이었다.
처방의사 수는 전체 9만 2620명으로 이중 의원급이 4만 1309명, 종합병원이 3만 6433명, 병원이 1만 963명, 요양병원이 6439명이었다.
한편 처방 건수는 총 4647만 6201건으로 이중 의원급이 2074만 4774건으로 44.6%를 차지했고 이어 종합병원이 1590만 9026건, 병원이 598만 359건, 요양병원은 380만 3875건이었다.
사용량(단위=정, 개)에서도 의원급이 과반을 넘어섰다.
총 사용량 7억 6220만 4081개 중 의원급만 4억 3884만 8256개로 57.6%를 차지했다. 이어 종합병원급이 2억 1882만 9242개(28.7%), 병원이 6742만 116개(8.8%), 요양병원이 3611만 9480개(4.7%)를 사용했다.
의원급의 처방량 합계(2074만 4774건)보다 종합병원과 병원, 요양병원 처방량 합계(2569만 3260건)가 더 많았지만 의원급의 총 사용량은 전체의 57.6%로 기타 기관을 다 합친 것보다 많았다. 의원급의 마약류 사용이 빈번하다는 뜻이다.
2018년 하반기 기준 의료용 마약류 사용 환자는 1190만명으로 국민 4.4명당 1명꼴로 집계됐다.
의료용 마약류 사용 환자 중 여성은 676만명(58.4%), 남성은 481만명(41.6%)으로 여성이 16.8%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환자 비율을 보면 50대가 21.6%로 최다를, 이어 40대가 20.6%, 60대가 17.5%, 30대가 12.6%, 70대가 11.5%, 20대가 6.7%, 80대가 5.8%의 순이었다.
효능 분류별 환자 수는 마취/진통제가 499만명으로 1위를, 이어 최면진정제가 471만명으로 2위였고, 이후 항불안제(167만명), 진통제(162만명), 식욕억제제(91만명), 진해제(56만명), ADHD치료제(9만명), 항뇌전증제(2만명) 순이었다.
의약품안전관리원은 이같은 취급정보 통계, 분석, 활용 기법을 토대로 향후 선별, 집중 감시 대상을 추린다는 계획이다.
유명식 마약류통합정보관리센터장은 "마약류 생산과 유통, 사용 단계에 걸친 전주기 정책 통계를 산출하겠다"며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전산정보와 연계해 사망, 허위번호 사용 환자를 확인하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프로포폴이나 식욕억제제, 졸피뎀 등 약물을 과다 처방받은 환자들을 분석해 그들이 많이 가는 의료기관을 찾아내겠다"며 "빅데이터를 통해 환자에게는 다른 환자와의 투약 비교 통계를 제공해 투약 자율억제를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