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진료확인서 및 치료확인서 만들어 현장에 적용
"응급실 진료 특수상황이라는 정부 행정해석이 근거"

24일 부천성모병원 관계자에 따르면 진단명을 제외한 응급실진료확인서와 진단명을 포함한 응급실치료확인서 서식을 새로 만들어 23일부터 본격 사용했다.
확인서에는 환자의 응급실 내원이력의 입실 및 퇴실 통보 일자, 시간, 요율 등이 기재된다.
응급실진료확인서는 병원의 응급원무 및 통합증명서 창구에서 작성하는 것이고 응급실치료확인서는 응급의학과 및 각 진료과 외래에서 작성한다. 수수료는 원본 3000원, 사본 1000원이다.

응급실 체류 시간이 6시간을 넘어가면 외래가 아닌 입원으로 분류돼 진료비 중 환자 본인부담률이 낮아지는데, 정부는 응급환자 과밀도를 낮추기 위해 응급환자분류등급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있다.
문제는 전국 응급실 중 권역 및 지역응급의료센터 일부에만 적용된다는 것이다.
부천성모병원 관계자는 "비응급 환자가 응급실을 찾아 외래로 환자를 분류하면 6시간이라는 시간 기준 때문에 일선 병원은 환자 민원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며 "2박 3일 응급실에 있었는데 왜 외래로 해주냐 등의 항의는 일상다반사"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새롭게 서식을 만든 이유는 환자 민원을 받지 않겠다는 것"이라며 "응급실을 이용한 환자에 대해 병원은 외래확인서만 발급해주고 환자가 처한 상황인 특수한지 아닌지, 즉 입원인지 외래인지에 대한 판단을 보험사에 맡기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