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최근 5년 간 진료데이터 분석 통해 환자 증가세 확인
일산병원 박민정 교수 "초음파·MRI 진단 필수 아냐" 과잉진료 차단
걷기 힘들 정도로 발바닥 통증을 유발하는 '족저근막염'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전문가들은 족저근막염 중년층 여성 환자가 늘어나는 점을 주목하면서 열악한 근무환경 문제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년~2018년간 '족저근막염(M72.2)'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9.6%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3배 많고, 50대(2018년 기준 4만 859명, 26.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족저근막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17만 9000명에서 2018년 25만 8000명으로 44%(연평균 9.6%)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7만 6000명에서 2018년 10만 9000명으로 45.2%(연평균 9.8%), 여성은 10만 3000명에서 14만 8000명으로 43.2%(연평균 9.4%) 증가해 남녀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2018년만 살펴보면, 족저근막염으로 진료 받은 여성은 57.4%(14만 8125명), 남성은 전체 환자의 42.6%(10만 9804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3배 많았다.
특히 여성 환자만을 보면 50대가 4만 5000명(30.9%)로 가장 많았고, 40대(21%), 60대 (17%)순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에서 60대의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전문가들은 족저근막염 여성 환자의 증가를 두고 여성의 사회진출에서 그 답을 찾았다.
중년층 여성들이 사회 진출 이 후 서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등 장기간 동안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이면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이라는 것이다.
건강보험 일산병원 박민정 교수(정형외과)는 "족저근막염이 보통 40~60대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이 연령대 회성분들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질환 증가의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족저근막염 환자에게 투입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4년 161억원에서 2018년 263억원으로 101억원이 늘어 연평균 13%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외래는 같은 기간 111억원에서 182억원으로 연평균 13.2%, 약국은 44억 원에서 70억원(연평균 12.4%), 입원진료비는 2014년 6억원에서 2018년 10억원으로(연평균 13.3%) 증가했다.
2018년 기준, 진료형태별로 총 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외래 69.4%, 약국 26.8%, 입원 3.9%로 외래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발목을 위로 들어 올릴 때 발 뒤꿈치 주변부로 당기는 듯한 통증이 있거나 족저부의 날카로은 통증을 느끼는 경우 족저근막염을 진단하게 된다"며 "초음파나 MRI 등으로 족저근막부위의 다른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감별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검사가 진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가운데 전문가들은 족저근막염 중년층 여성 환자가 늘어나는 점을 주목하면서 열악한 근무환경 문제를 원인으로 지목했다.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4년~2018년간 '족저근막염(M72.2)' 환자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5년간 연평균 9.6% 증가했다. 여성 진료인원이 남성의 1.3배 많고, 50대(2018년 기준 4만 859명, 26.1%)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건강보험 가입자 중 '족저근막염'으로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17만 9000명에서 2018년 25만 8000명으로 44%(연평균 9.6%) 증가했다.
남성은 2014년 7만 6000명에서 2018년 10만 9000명으로 45.2%(연평균 9.8%), 여성은 10만 3000명에서 14만 8000명으로 43.2%(연평균 9.4%) 증가해 남녀모두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 중 2018년만 살펴보면, 족저근막염으로 진료 받은 여성은 57.4%(14만 8125명), 남성은 전체 환자의 42.6%(10만 9804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3배 많았다.
특히 여성 환자만을 보면 50대가 4만 5000명(30.9%)로 가장 많았고, 40대(21%), 60대 (17%)순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0대에서 60대의 진료인원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았다.
전문가들은 족저근막염 여성 환자의 증가를 두고 여성의 사회진출에서 그 답을 찾았다.
중년층 여성들이 사회 진출 이 후 서 있는 시간이 늘어나는 등 장기간 동안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이면서 발생하는 사회현상이라는 것이다.
건강보험 일산병원 박민정 교수(정형외과)는 "족저근막염이 보통 40~60대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이 연령대 회성분들의 사회 진출이 증가하면서 서 있는 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질환 증가의 한 가지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족저근막염 환자에게 투입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4년 161억원에서 2018년 263억원으로 101억원이 늘어 연평균 13% 증가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외래는 같은 기간 111억원에서 182억원으로 연평균 13.2%, 약국은 44억 원에서 70억원(연평균 12.4%), 입원진료비는 2014년 6억원에서 2018년 10억원으로(연평균 13.3%) 증가했다.
2018년 기준, 진료형태별로 총 진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외래 69.4%, 약국 26.8%, 입원 3.9%로 외래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발목을 위로 들어 올릴 때 발 뒤꿈치 주변부로 당기는 듯한 통증이 있거나 족저부의 날카로은 통증을 느끼는 경우 족저근막염을 진단하게 된다"며 "초음파나 MRI 등으로 족저근막부위의 다른 질환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감별에 도움이 될 수는 있으나 이러한 검사가 진단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