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배송 과정 효율화하고 비회원 차별 정책 줄였다
"안정 찾은 마스크 공급 시스템, 수요 예측 가장 걱정"
일선 개원가의 마스크 부족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된 '공적 마스크 공급'이 약 한 달째를 맞은 가운데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적 마스크는 지난달 6일 부산, 울산, 경상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제주도 등 6개 의사회에 처음 배달됐다. 공급 초기에는 약 20만장의 마스크가 3~4일에 한 번씩 시도의사회로 순차 배송됐다. 배급 방법부터 마스크 소분, 회원과 비회원 차별 문제 등으로 잡음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마스크 공적 공급을 담당하는 의협은 시도의사회가 일주일에 한 번씩 마스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현재는 매일 약 30만장의 마스크가 시도의사회로 순차 배송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변형규 보험이사는 "마스크 배급 초기에는 시도의사회까지 마스크가 도착하기까지 과정이 길었다"라며 "마스크 생산 업체가 20만장에 달하는 마스크를 이촌동 의협 회관에 마련된 컨테이너로 보내면 의협이 마스크 승하차 아르바이트를 고용해 용달 트럭에 다시 마스크 상자를 옮겼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과정을 거치면 시도의사회 사무국이 마스크를 받는 시각은 밤 9시나 10시가 된다"라며 "시도의사회 사무국 직원의 업무 부담이 컸을 것이다.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나왔고 불필요한 절차를 생략하기로 했다"라고 덧붙였다.
현재는 오전 10시에 마스크 생산 공장으로 용달트럭이 모이면 바로 마스크를 실어서 시도의사회로 배송된다.
"비회원 차별 없는 정책, 회비 납부율 제고에 도움 될 것"
마스크 공적 공급 이후 가장 먼저 터져 나왔던 문제는 회원과 비회원 차별이다. 실제 일부 시군구의사회에서는 회비를 내지 않은 회원에게 마스크를 지급하지 않겠다고 공표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변 이사는 "정부가 의협에 마스크 공적 공급을 맡기면서 당부한 게 꼭 의료인에게 가야 한다는 것과 회원·비회원 구분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었다"라고 운을 뗐다.
실제 의협 차원에서도 회비를 내지 않은 의사에게 마스크를 안주면 안된다는 내용의 공문을 수차례 내린 상황. 다만 변 이사는 배송 방법에 차이를 두는 정책은 이해한다고 했다.
그는 "업무 부담이 있는 작업이다 보니 회원과 비회원 차별이 필요하다는 의사회 입장은 충분히 이해한다"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회비 납부율 제고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시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의사회나 의협에 있으면서 의협이 (회원을 위해) 해준 게 뭐가 있나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그러면서도 현지조사같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가장 먼저 찾는 게 의사단체"라며 "회비를 내지 않았더라도 도움을 주면 회비 납부로 돌아오는 경우를 많이 봤다"라고 전했다.
또 "마스크도 도움을 받으면 의협이 회원에게 해주는 게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분명히 늘어날 것"이라며 "시군구의사회에서도 생각의 방향을 바꿔 회원이 아니더라도 도움을 주고 설득하는 작업을 했으면 거쳤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공적 마스크 공급이 안정을 찾은 상황에서 앞으로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마스크 수요-공급의 예측. 의협의 예산이 들어가는 작업인 만큼 손해를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현재 마스크는 의료 인력 한 명당 하루 한 장씩 5일치를 배분하고 있다. 가격은 한 매당 1000원이다. 예를 들어보면 원장 한 명에 간호조무사가 2명 있는 의원이라면 3명에 대한 마스크 3장, 여기에 5일치를 하면 15장이다. 비용은 1만5000원이 된다. 지역의사회 사정에 따라 배송비 등이 추가로 들 수 있다.
변형규 이사는 "마스크 공급가 900원이고 나머지 100원으로 시도의사회로 배달하는 비용, 마스크 상하차를 위해 고용하는 아르바이트비 등을 충당하고 있다"라며 "시도의사회에도 운송비용만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군구의사회 차원에서 하고 있는 배송비, 직원 수고비는 포함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공적 공급 계약은 6월까지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미지수인 상황에서 마스크 수요와 공급을 잘 예측해야 한다"라며 "매일 2억~3억원씩 나가고 있다. 한 달로 하면 수십억원에 달하는 큰 금액이기 때문에 수요는 줄어드는데 공급이 많아지는 상황, 혹은 그 반대의 상황을 빨리 짚어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적 마스크는 지난달 6일 부산, 울산, 경상남도, 충청북도, 경상북도, 제주도 등 6개 의사회에 처음 배달됐다. 공급 초기에는 약 20만장의 마스크가 3~4일에 한 번씩 시도의사회로 순차 배송됐다. 배급 방법부터 마스크 소분, 회원과 비회원 차별 문제 등으로 잡음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마스크 공적 공급을 담당하는 의협은 시도의사회가 일주일에 한 번씩 마스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현재는 매일 약 30만장의 마스크가 시도의사회로 순차 배송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 변형규 보험이사는 "마스크 배급 초기에는 시도의사회까지 마스크가 도착하기까지 과정이 길었다"라며 "마스크 생산 업체가 20만장에 달하는 마스크를 이촌동 의협 회관에 마련된 컨테이너로 보내면 의협이 마스크 승하차 아르바이트를 고용해 용달 트럭에 다시 마스크 상자를 옮겼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과정을 거치면 시도의사회 사무국이 마스크를 받는 시각은 밤 9시나 10시가 된다"라며 "시도의사회 사무국 직원의 업무 부담이 컸을 것이다.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나왔고 불필요한 절차를 생략하기로 했다"라고 덧붙였다.
현재는 오전 10시에 마스크 생산 공장으로 용달트럭이 모이면 바로 마스크를 실어서 시도의사회로 배송된다.
"비회원 차별 없는 정책, 회비 납부율 제고에 도움 될 것"
마스크 공적 공급 이후 가장 먼저 터져 나왔던 문제는 회원과 비회원 차별이다. 실제 일부 시군구의사회에서는 회비를 내지 않은 회원에게 마스크를 지급하지 않겠다고 공표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변 이사는 "정부가 의협에 마스크 공적 공급을 맡기면서 당부한 게 꼭 의료인에게 가야 한다는 것과 회원·비회원 구분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었다"라고 운을 뗐다.
실제 의협 차원에서도 회비를 내지 않은 의사에게 마스크를 안주면 안된다는 내용의 공문을 수차례 내린 상황. 다만 변 이사는 배송 방법에 차이를 두는 정책은 이해한다고 했다.
그는 "업무 부담이 있는 작업이다 보니 회원과 비회원 차별이 필요하다는 의사회 입장은 충분히 이해한다"라면서도 장기적으로는 회비 납부율 제고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는 시각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의사회나 의협에 있으면서 의협이 (회원을 위해) 해준 게 뭐가 있나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그러면서도 현지조사같이 어려운 상황에 처했을 때 가장 먼저 찾는 게 의사단체"라며 "회비를 내지 않았더라도 도움을 주면 회비 납부로 돌아오는 경우를 많이 봤다"라고 전했다.
또 "마스크도 도움을 받으면 의협이 회원에게 해주는 게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분명히 늘어날 것"이라며 "시군구의사회에서도 생각의 방향을 바꿔 회원이 아니더라도 도움을 주고 설득하는 작업을 했으면 거쳤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공적 마스크 공급이 안정을 찾은 상황에서 앞으로 가장 신경 써야 할 부분은 마스크 수요-공급의 예측. 의협의 예산이 들어가는 작업인 만큼 손해를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현재 마스크는 의료 인력 한 명당 하루 한 장씩 5일치를 배분하고 있다. 가격은 한 매당 1000원이다. 예를 들어보면 원장 한 명에 간호조무사가 2명 있는 의원이라면 3명에 대한 마스크 3장, 여기에 5일치를 하면 15장이다. 비용은 1만5000원이 된다. 지역의사회 사정에 따라 배송비 등이 추가로 들 수 있다.
변형규 이사는 "마스크 공급가 900원이고 나머지 100원으로 시도의사회로 배달하는 비용, 마스크 상하차를 위해 고용하는 아르바이트비 등을 충당하고 있다"라며 "시도의사회에도 운송비용만 지원하고 있는 상황이다. 시군구의사회 차원에서 하고 있는 배송비, 직원 수고비는 포함하지 않았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공적 공급 계약은 6월까지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미지수인 상황에서 마스크 수요와 공급을 잘 예측해야 한다"라며 "매일 2억~3억원씩 나가고 있다. 한 달로 하면 수십억원에 달하는 큰 금액이기 때문에 수요는 줄어드는데 공급이 많아지는 상황, 혹은 그 반대의 상황을 빨리 짚어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