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빈도 적고, 연구 부족한 질환 예후 인자 확인
급성 뇌경색의 최신 치료인 '동맥내 혈전제거술'시, 후순환계 뇌경색에서의 예후 예측 모델이 새롭게 개발됐다.
아주대병원 이진수 교수팀(홍지만·이진수·이성준·최문희 교수)은 6일 경북대병원과 계명대병원과의 다기관 공동 연구를 통해 후순환계 뇌동맥 혈관이 막혀 생긴 급성 뇌경색에서 동맥내 혈전제거술후 예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혈전제거술은 뇌혈관이 막혔을 때, 미세도관과 스텐트를 넣어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혈관내치료로, 중대뇌동맥 및 내경동맥 등 전순환계 혈관이 막힌 급성 뇌경색에서 시행되는 최신 치료법이다.
하지만 후순환계 대뇌동맥 폐색에서의 예후에 대한 근거가 그동안 마련되지 않았다.
아주대병원 등 3개 병원은 공동으로 협력해 만든 다기관 레지스트리, ASIAN KR(Acute Stroke due to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occlusion and Neurointervention Korean Retrospective)의 데이터(2011년~2016년, 6년)를 통해 얻은 혈전제거술전 임상지표, 뇌 영상 결과들의 분석을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개발했으며, 예측 모델의 민감도는 89% 특이도는 64% 정도로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ASIAN KR 기반으로 후순환계 뇌경색의 중요한 예후 인자가 ▲치료 전 뇌경색의 부피 ▲증상 발생부터 동맥 내 치료까지의 시간 ▲혈관 폐색 메커니즘(색전증, 동맥경화성 폐색, 기타 기전 등)임을 새롭게 확인했다.
이중 동맥경화성 혈관 폐색이 있을시, 전순환계에 비해 후순환계 혈관의 폐색에서 예후가 좋지 않으며, 스텐트, 풍선확장술, 동맥내 항 혈전제 등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전순환계 뇌혈관 폐색에서 강력한 예후 예측인자인 '뇌동맥 곁순환(큰 혈관이 막힐 경우 주변 작은 혈관을 지나 이뤄지는 보상적인 혈액순환)'은 후순환계 뇌혈관 폐색의 예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교신저자인 이진수 교수는 "후순환계 뇌경색은 그 발생빈도가 적고, 연구가 부족한 분야로, 혈관 폐색의 메카니즘이 전순환계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작은 뇌경색의 부피 증가에도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전순환계 뇌경색과 후순환계 뇌경색의 서로 다른 예측인자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3월 세계적인 학술지인 Radiology(Impact factor : 7.6)에 '급성 척추기저동맥 폐색의 동맥내 재관류 치료 예후 예측 모델 (Predicting Endovascular Treatment Outcomes in Acute Vertebrobasilar Artery Occlusion: A Model to Aid Patient Selection from the ASIAN KR Registry)’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아주대병원 이진수 교수팀(홍지만·이진수·이성준·최문희 교수)은 6일 경북대병원과 계명대병원과의 다기관 공동 연구를 통해 후순환계 뇌동맥 혈관이 막혀 생긴 급성 뇌경색에서 동맥내 혈전제거술후 예후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혈전제거술은 뇌혈관이 막혔을 때, 미세도관과 스텐트를 넣어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제거하는 혈관내치료로, 중대뇌동맥 및 내경동맥 등 전순환계 혈관이 막힌 급성 뇌경색에서 시행되는 최신 치료법이다.
하지만 후순환계 대뇌동맥 폐색에서의 예후에 대한 근거가 그동안 마련되지 않았다.
아주대병원 등 3개 병원은 공동으로 협력해 만든 다기관 레지스트리, ASIAN KR(Acute Stroke due to Intracranial Atherosclerotic occlusion and Neurointervention Korean Retrospective)의 데이터(2011년~2016년, 6년)를 통해 얻은 혈전제거술전 임상지표, 뇌 영상 결과들의 분석을 기반으로 예측 모델을 개발했으며, 예측 모델의 민감도는 89% 특이도는 64% 정도로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팀은 ASIAN KR 기반으로 후순환계 뇌경색의 중요한 예후 인자가 ▲치료 전 뇌경색의 부피 ▲증상 발생부터 동맥 내 치료까지의 시간 ▲혈관 폐색 메커니즘(색전증, 동맥경화성 폐색, 기타 기전 등)임을 새롭게 확인했다.
이중 동맥경화성 혈관 폐색이 있을시, 전순환계에 비해 후순환계 혈관의 폐색에서 예후가 좋지 않으며, 스텐트, 풍선확장술, 동맥내 항 혈전제 등의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전순환계 뇌혈관 폐색에서 강력한 예후 예측인자인 '뇌동맥 곁순환(큰 혈관이 막힐 경우 주변 작은 혈관을 지나 이뤄지는 보상적인 혈액순환)'은 후순환계 뇌혈관 폐색의 예후에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교신저자인 이진수 교수는 "후순환계 뇌경색은 그 발생빈도가 적고, 연구가 부족한 분야로, 혈관 폐색의 메카니즘이 전순환계와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작은 뇌경색의 부피 증가에도 심각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어 치료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전순환계 뇌경색과 후순환계 뇌경색의 서로 다른 예측인자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3월 세계적인 학술지인 Radiology(Impact factor : 7.6)에 '급성 척추기저동맥 폐색의 동맥내 재관류 치료 예후 예측 모델 (Predicting Endovascular Treatment Outcomes in Acute Vertebrobasilar Artery Occlusion: A Model to Aid Patient Selection from the ASIAN KR Registry)’이란 제목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