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건보 지원 내역 공개…안심병원 76억·전화처방 28억
진단검사 225억원·생활치료센터 2.4억원 "건강보험 지속 지원"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의료기관 조기지급과 보험료 경감 등에 건강보험 총 11조 4500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15일 서울에서 열린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코로나19 적극 대응을 위한 건강보험 지원 내용'을 보고사항으로 상정했다.

코로나 사태로 올해 첫 열린 건정심은 김강립 차관 주재로 방역을 위해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 좌석 배치했다.
앞서 복지부는 방역현장에서 헌신하는 의료기관의 코로나19 적극 대응을 위해 감염 및 치료예방에 필수적인 비용을 신속히 지원했다.
주요 지출내역을 살펴보면, 가입자 건강보험료 부담경감 차원에서 대구경북지역 등 특별재난지역 보험료 경감으로 9877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의료기관의 경우, 급여비 선지급과 조기지급에 10조원이 지급됐다.
전년도 동월 건강보험 급여의 90~100%인 선지급의 경우, 5039개 기관에 1조 7602억원(5월 6일 기준)을 지급했다.

국민안심병원 수가 현황.
건강보험 급여를 조기지급을 위해서는 23만 7365건에 8조 6543억원(5월 6일 기준)을 지출했다.
코로나19 진단검사 총 609개 기관에서 25만 2825명을 검사해 약 225억원을 청구했다.
국민안심병원 346개소에 약 76억원을, 전화상담 및 전화처방 22만 2000여건으로 28.6억원(5월 5일 현재)을 청구했다.

생활치료센터 수가 현황.
또한 중증환자 치료병상 확보 지원을 위해 277개 의료기관에 약 167억원을 지원했으며, 생활치료센터 18개 운영과 5개 의료기관 지원에 따른 2억4000만원을 청구했다.
이밖에 중증응급센터 격리진료 9542건에 약 7억3천만원을, 응급의료기관 선별진료소 113개 운영에 약 7억원을, 의료기관 감염예방관리료 1500개 기관에 약 42억원을, 코로나19 치료 약제비 지원에 3억2000만원 등을 각각 지원했다.
복지부는 코로나19 관련 건강보험 지원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태 종료 후 건강보험 지원 결과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최종 보고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15일 서울에서 열린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코로나19 적극 대응을 위한 건강보험 지원 내용'을 보고사항으로 상정했다.

주요 지출내역을 살펴보면, 가입자 건강보험료 부담경감 차원에서 대구경북지역 등 특별재난지역 보험료 경감으로 9877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의료기관의 경우, 급여비 선지급과 조기지급에 10조원이 지급됐다.
전년도 동월 건강보험 급여의 90~100%인 선지급의 경우, 5039개 기관에 1조 7602억원(5월 6일 기준)을 지급했다.

코로나19 진단검사 총 609개 기관에서 25만 2825명을 검사해 약 225억원을 청구했다.
국민안심병원 346개소에 약 76억원을, 전화상담 및 전화처방 22만 2000여건으로 28.6억원(5월 5일 현재)을 청구했다.

이밖에 중증응급센터 격리진료 9542건에 약 7억3천만원을, 응급의료기관 선별진료소 113개 운영에 약 7억원을, 의료기관 감염예방관리료 1500개 기관에 약 42억원을, 코로나19 치료 약제비 지원에 3억2000만원 등을 각각 지원했다.
복지부는 코로나19 관련 건강보험 지원 현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사태 종료 후 건강보험 지원 결과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최종 보고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