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환자 대상 아시아 최초 장기 처방 RW데이터 도출
1년 이상 70% 요법 유지…2년 65.8%, 3년 58.1% 기록
국내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생물학적 제제 아달리무맙(애브비)이 장기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면서 날개를 달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아시아 최초 장기 처방 리얼월드데이터로 이를 입증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치료 중단에 대한 예측인자도 밝혀졌다는 점에서 향후 처방 전략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염증성 장질환 대상 아시아 첫 장기 리얼월드데이터 도출
26일 대한소화기학회가 발간하는 SCI 국제학술지 Gut&Liver에는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아달리무맙의 장기 처방 리얼월드데이터가 게재됐다(doi.org/10.5009/gnl19137)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예병덕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진행한 이번 장기 처방 리얼월드데이터는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분석된 자료다.
실제로 항 TNF 생물학적 제제인 아달리무맙은 미국 FDA 승인을 토대로 2014년 국내에서 급여권에 진입했지만 아직까지 장기 추적 관찰 연구는 전무했다.
특히 아시아권에서도 일본에서 진행한 위약 대조 임상시험이 하나 있었지만 소규모인데다 추적 기간이 2년 미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지 못했다. 이번 연구가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첫번째 장기 추적 관찰 연구로 평가되는 이유다.
이번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18세 이상 궤양성 대장염 환자 100명을 모집해 진행됐다. 모든 환자는 이전에 면역조절제나 전신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지만 실패한 환자로 채워졌다.
이들은 0주차에 160mg의 아달리무맙을 처방한 뒤 2주차에 80mg, 4주차부터 유지요법으로 2주마다 4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급여 기준에 맞춰 최대 5년간 유지 요법을 진행했다.
현재 표준요법인 8주차까지의 임상 결과를 살펴보면 아달리무맙 투여를 시작했을때 환자들의 궤양성 대장염의 지표 즉, Median partial Mayo score는 6.0이었다.
하지만 8주가 지나자 중앙값이 3.0으로 절반 이상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8주차까지의 임상 결과는 이미 다양한 임상시험을 통해 입증된 결과와 유사했다.
8주 이상 장기 처방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 성공
관심을 모았던 8주 이상의 장기 추적 결과도 나쁘지 않았다. 최대 5년간 이어진 장기 관찰에서 유지 요법을 이어간 환자들의 비율이 우수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100명의 환자 중 8주 이상 아달리무맙을 이어간 환자는 92명으로 분석됐다. 92명 환자의 평균 처방 기간은 17개월이었고 특히 66.3%의 환자들은 마지막 추적 관찰 기간인 5년까지 아달리무맙으로 궤양성 대장염을 관리하는데 성공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8주 이상 아달리무맙 처방을 받은 92명의 환자 중 계속해서 유지 요법을 이어간 누적 비율은 1년차에 70%를 기록했다.
이어 2년차에는 65.8%가 유지 요법을 이어갔으며 3년차에는 58.1%, 5년차에는 48.9%가 여전히 아달리무맙으로 관리가 되고 있었다.
92명이 아닌 총 환자수로 계산하면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을 이어간 환자의 누적 비율은 1년차에 64.6%, 2년차에 59.3%, 3년차에 53.8%, 5년차에 45.5% 였다.
궤양성 대장염 환자 절반이 아달리무맙만 가지고도 5년 이상 질환 관리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장기 유지 요법에서 탈락한 8명의 환자들은 8주 미만에서 모두 임상에서 제외됐다. 이들 중 4명은 결국 절제술을 받아야 했으며 두명은 다른 생물학적 제제인 인플릭시맙으로 처방을 변경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을 중단하게 만드는 예측 지표도 도출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예측 지표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아달리무맙 투여 전에 다른 생물학적 제제에 노출된 경우로 처방 전 다른 생물학적 제제로 관리에 실패했을 경우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이 듣지 않을 위험성이 4.7배나 높아졌다(HR 4.722; CI, p=0.045).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아시아에서 이뤄진 아달리무맙 장기 유지 요법에 대한 최초의 리얼월드데이터"라며 "유지 요법에 들어간 환자의 상당수가 추적 관찰 기간을 넘어서도 여전히 처방을 이어가며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다른 생물학적 제제로 실패했을 경우 아달리무맙 장기 요법도 실패할 위험이 높다는 중단 예측 인자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있다"며 "아달리무맙 요법의 조기 최적화 전략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아시아 최초 장기 처방 리얼월드데이터로 이를 입증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치료 중단에 대한 예측인자도 밝혀졌다는 점에서 향후 처방 전략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염증성 장질환 대상 아시아 첫 장기 리얼월드데이터 도출
26일 대한소화기학회가 발간하는 SCI 국제학술지 Gut&Liver에는 국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장질환에 대한 아달리무맙의 장기 처방 리얼월드데이터가 게재됐다(doi.org/10.5009/gnl19137)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예병덕 교수가 이끄는 연구진이 진행한 이번 장기 처방 리얼월드데이터는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분석된 자료다.
실제로 항 TNF 생물학적 제제인 아달리무맙은 미국 FDA 승인을 토대로 2014년 국내에서 급여권에 진입했지만 아직까지 장기 추적 관찰 연구는 전무했다.
특히 아시아권에서도 일본에서 진행한 위약 대조 임상시험이 하나 있었지만 소규모인데다 추적 기간이 2년 미만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지 못했다. 이번 연구가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첫번째 장기 추적 관찰 연구로 평가되는 이유다.
이번 연구는 2013년 7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18세 이상 궤양성 대장염 환자 100명을 모집해 진행됐다. 모든 환자는 이전에 면역조절제나 전신 코르티코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았지만 실패한 환자로 채워졌다.
이들은 0주차에 160mg의 아달리무맙을 처방한 뒤 2주차에 80mg, 4주차부터 유지요법으로 2주마다 40mg의 용량을 투여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급여 기준에 맞춰 최대 5년간 유지 요법을 진행했다.
현재 표준요법인 8주차까지의 임상 결과를 살펴보면 아달리무맙 투여를 시작했을때 환자들의 궤양성 대장염의 지표 즉, Median partial Mayo score는 6.0이었다.
하지만 8주가 지나자 중앙값이 3.0으로 절반 이상이 완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8주차까지의 임상 결과는 이미 다양한 임상시험을 통해 입증된 결과와 유사했다.
8주 이상 장기 처방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 성공
관심을 모았던 8주 이상의 장기 추적 결과도 나쁘지 않았다. 최대 5년간 이어진 장기 관찰에서 유지 요법을 이어간 환자들의 비율이 우수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100명의 환자 중 8주 이상 아달리무맙을 이어간 환자는 92명으로 분석됐다. 92명 환자의 평균 처방 기간은 17개월이었고 특히 66.3%의 환자들은 마지막 추적 관찰 기간인 5년까지 아달리무맙으로 궤양성 대장염을 관리하는데 성공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8주 이상 아달리무맙 처방을 받은 92명의 환자 중 계속해서 유지 요법을 이어간 누적 비율은 1년차에 70%를 기록했다.
이어 2년차에는 65.8%가 유지 요법을 이어갔으며 3년차에는 58.1%, 5년차에는 48.9%가 여전히 아달리무맙으로 관리가 되고 있었다.
92명이 아닌 총 환자수로 계산하면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을 이어간 환자의 누적 비율은 1년차에 64.6%, 2년차에 59.3%, 3년차에 53.8%, 5년차에 45.5% 였다.
궤양성 대장염 환자 절반이 아달리무맙만 가지고도 5년 이상 질환 관리가 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장기 유지 요법에서 탈락한 8명의 환자들은 8주 미만에서 모두 임상에서 제외됐다. 이들 중 4명은 결국 절제술을 받아야 했으며 두명은 다른 생물학적 제제인 인플릭시맙으로 처방을 변경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을 중단하게 만드는 예측 지표도 도출됐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예측 지표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아달리무맙 투여 전에 다른 생물학적 제제에 노출된 경우로 처방 전 다른 생물학적 제제로 관리에 실패했을 경우 아달리무맙 유지 요법이 듣지 않을 위험성이 4.7배나 높아졌다(HR 4.722; CI, p=0.045).
연구진은 "이번 연구는 아시아에서 이뤄진 아달리무맙 장기 유지 요법에 대한 최초의 리얼월드데이터"라며 "유지 요법에 들어간 환자의 상당수가 추적 관찰 기간을 넘어서도 여전히 처방을 이어가며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다른 생물학적 제제로 실패했을 경우 아달리무맙 장기 요법도 실패할 위험이 높다는 중단 예측 인자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있다"며 "아달리무맙 요법의 조기 최적화 전략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