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합의문 서명한 이상 더이상 지지할 수 있는 명분 없어
병원장‧교수들 "병상가동률 50%…중환자실 등 붕괴 직전"
전공의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대한의사협회가 정부‧여당과 차례대로 합의문에 서명한 가운데 젊은의사를 지지했던 각 의과대학 교수들의 입장도 변화하는 모양새다.
이전까지는 전공의들을 지지했지만, 의사협회가 합의문의 서명한 이상 이들을 지지해야 할 명분이 떨어지면서 진료현장 복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5일 대한의학회와 사립대의료원‧병원협회 등 주요 7개 의료단체는 한 목소리로 전공의와 전임의 등 젊은의사들의 진료현장 복귀를 요청했다.
앞서 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은 지난 4일 오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의과대학 증원과 공공의대 신설 정책 등의 원점 재논의하기로 전격 합의한 데 이어 같은 날 오후에는 복지부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합의문에 서명했다.
하지만 대한전공의협의회는 합의안이 만들어 지게 된 내용과 절차적 문제를 요구하며 최대집 회장의 독단적 결정이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 여당과의 합의문에 반대하는 서울 내 전공의들이 복지부와의 합의문 서명 장소에까지 찾아가 거세게 항의하면서 합의 장소를 바꾸는 상황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의학회를 필두로 의료계 원로와 주요 의대 교수들로 구성된 의료단체들도 전공의들의 진료현장 복귀를 요청하고 나섰다.
성명을 통해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한 판데믹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려 했던 의사 수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 등의 정책을 멈추게 하고 '원점 재논의'가 가능하도록 만든 것은 여러분들의 공"이라며 "수련 현장으로 속히 복귀해달라"고 요청했다.
실제로 그동안 전공의 등 젊은의사들을 지지해왔던 의대 교수들은 '출구전략'을 언급하며 전공의들의 진료현장 복귀에 무게를 실었다.
실제로 의과대학 교수들은 더 이상 '논쟁'을 벌일 상대가 없어진 이상 전공의들의 명분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수련과장은 "사실 최대집 회장이 여당과 복지부와 차례로 합의문에 서명한 이상 일반 국민들이 봤을 땐 합의가 된 것으로 이제는 논쟁을 벌일 상대가 사라진 것"이라며 "결국 이렇게 계속 흘러갔다간 의료계 안에서의 논쟁만 지속하는 꼴"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복지부가 업무개시명령 후 전공의들을 고발 조치하면서 교수들이 격앙된 것이고, 제자들을 지키기 위해 나섰던 것"이라며 "전공의들을 수련하는 의대교수 입장에서 이제는 들어오라고 할 것이다. 병원 내부에서 의사만 있는 것도 아니고 일반 직원과 간호사들을 고려한다면 현재까지 온 것도 많은 배려가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한 달 동안 의료계 파업이 진행되면서 환자와 병원이 큰 피해를 받은 상황에서 이제는 집단행동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장은 "병상가동률이 현재 50% 수준"이라며 "이것은 신규로 수술이나 입원환자를 받을 수 없다는 뜻이다. 병원이 붕괴되기 직전"이라고 전공의들의 복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도권의 한 상급종합병원 수련과장 역시 "의사협회장이 합의를 한 이상 집단행동의 구심점도 사라졌다"며 "만약 전공의가 계속 집단행동을 계속한다면 촉탁의를 고용해 수술방을 운영해야 할 형편이다. 주말 동안 전공의들을 설득해서 진료현장 복귀를 설득시키겠다"고 전했다.
이전까지는 전공의들을 지지했지만, 의사협회가 합의문의 서명한 이상 이들을 지지해야 할 명분이 떨어지면서 진료현장 복귀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5일 대한의학회와 사립대의료원‧병원협회 등 주요 7개 의료단체는 한 목소리로 전공의와 전임의 등 젊은의사들의 진료현장 복귀를 요청했다.
앞서 의사협회 최대집 회장은 지난 4일 오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의과대학 증원과 공공의대 신설 정책 등의 원점 재논의하기로 전격 합의한 데 이어 같은 날 오후에는 복지부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합의문에 서명했다.
하지만 대한전공의협의회는 합의안이 만들어 지게 된 내용과 절차적 문제를 요구하며 최대집 회장의 독단적 결정이었다고 주장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 여당과의 합의문에 반대하는 서울 내 전공의들이 복지부와의 합의문 서명 장소에까지 찾아가 거세게 항의하면서 합의 장소를 바꾸는 상황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이를 두고 의학회를 필두로 의료계 원로와 주요 의대 교수들로 구성된 의료단체들도 전공의들의 진료현장 복귀를 요청하고 나섰다.
성명을 통해 이들은 "코로나19로 인한 판데믹 위기 상황에서 정부가 일방적으로 추진하려 했던 의사 수 증원과 공공의대 설립 등의 정책을 멈추게 하고 '원점 재논의'가 가능하도록 만든 것은 여러분들의 공"이라며 "수련 현장으로 속히 복귀해달라"고 요청했다.
실제로 그동안 전공의 등 젊은의사들을 지지해왔던 의대 교수들은 '출구전략'을 언급하며 전공의들의 진료현장 복귀에 무게를 실었다.
실제로 의과대학 교수들은 더 이상 '논쟁'을 벌일 상대가 없어진 이상 전공의들의 명분이 떨어졌다고 말했다.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 수련과장은 "사실 최대집 회장이 여당과 복지부와 차례로 합의문에 서명한 이상 일반 국민들이 봤을 땐 합의가 된 것으로 이제는 논쟁을 벌일 상대가 사라진 것"이라며 "결국 이렇게 계속 흘러갔다간 의료계 안에서의 논쟁만 지속하는 꼴"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복지부가 업무개시명령 후 전공의들을 고발 조치하면서 교수들이 격앙된 것이고, 제자들을 지키기 위해 나섰던 것"이라며 "전공의들을 수련하는 의대교수 입장에서 이제는 들어오라고 할 것이다. 병원 내부에서 의사만 있는 것도 아니고 일반 직원과 간호사들을 고려한다면 현재까지 온 것도 많은 배려가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시에 한 달 동안 의료계 파업이 진행되면서 환자와 병원이 큰 피해를 받은 상황에서 이제는 집단행동을 마무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의 한 상급종합병원장은 "병상가동률이 현재 50% 수준"이라며 "이것은 신규로 수술이나 입원환자를 받을 수 없다는 뜻이다. 병원이 붕괴되기 직전"이라고 전공의들의 복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도권의 한 상급종합병원 수련과장 역시 "의사협회장이 합의를 한 이상 집단행동의 구심점도 사라졌다"며 "만약 전공의가 계속 집단행동을 계속한다면 촉탁의를 고용해 수술방을 운영해야 할 형편이다. 주말 동안 전공의들을 설득해서 진료현장 복귀를 설득시키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