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의견 수렴 통해 추진한다는 해명자료에도 의료계 '부글부글'
코로나 의료인력난에 차출 방식보다는 지원 형태가 합리적
복지부가 코로나19 급증 상황에서 전공의 동원, 그 보상으로 전문의 고시를 면제하는 방안을 꺼내들었다가 의료계 뭇매를 맞고 있다.
복지부는 "전문의 자격시험 면제는 의학회, 수련병원 등과 협의할 사항으로 확정되지 않았다"며 해명에 나섰지만 의료현장의 의료진들은 "이와 같은 발상 자체가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일단 전공의를 코로나19 의료현장에 동원 여부를 두고 일선 의료진들은 곱지 않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당장 의료현장에 전공의 한명이 아쉬운 입장이고 전공의 3, 4년차가 전문의 시험 준비로 의료현장에서 빠져 있다손 치더라도 이 기간이 수련과정에서 중요한 시점이라는 게 일선 의료진의 설명이다.
서울권 S대학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사실 수련과정 중 전문의 시험을 앞두고 있는 2개월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지난 4년간 임상현장에서 배운 것을 책을 보며 정리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문의가 되고 난 이후에 돌이켜보면 전문의 고시를 준비하는 기간에 가장 많은 공부를 했고 또 이후에도 전문의로서 역할을 하는데 없어선 안될 기간이었다"면서 "이는 역량있는 전문의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전라권 한 응급의학과 교수도 "심각한 상황에서 의료인력 수급을 요청할 순 있다고 본다. 하지만 현재는 그 정도 상황은 아니다"라며 "일선 병원에서도 전공의 3~4년차 인력은 중요한데 차출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전했다.
수도권 한 내과 의사는 "동원하는 방식보다는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방식이 합리적"이라며 "제대로 보상이 있다면 의협심 넘치는 의사들이 적극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더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는 이유는 코로나19 동원과 전문의 고시 면제 여부를 연계한 것.
앞서 복지부는 코코나19여파로 전공의 연차별 수련교과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전공의에게도 전문의 시험 자격을 허용한 상황. 복지부는 병원 내 환자감소 및 의료인의 외부활동 수행 어려움으로 수련과정 이수에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응시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가령, 외부 학술대회는 4년차에 참석해야하는 학술회의는 면제하고 원내 학술대회(집담회)는 온라인 학회도 인정해주고 참석 요건도 연 50회 이상(4년찬 총 200회 이상)에서 참석 횟수 기준을 50%로 크게 낮췄다.
빅5병원 한 의료진은 "정부의 발상에 모욕감을 느꼈다"며 "전문의를 양성하는 과정은 수십년간 각 전문과목 학회가 유지해온 것인데 이를 정부가 한순간에 뒤집을 수 있다는 시각자체가 우려스럽다"고 했다.
복지부가 해명자료를 통해 자격시험 면제는 정부가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사안으로 의료계와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의료계는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 한 대학병원 교육수련부장은 "전문의 시험은 이를 통해 자격여부를 판단하는 것인데 몸으로 때우고 자격을 얻는다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는 국민들도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의료진의 역량을 평가해 전문의 자격을 줘야지 몸으로 때웠다고 자격을 준다면 의료진 질 관리에도 문제가 생긴다"고 경고했다.
복지부는 "전문의 자격시험 면제는 의학회, 수련병원 등과 협의할 사항으로 확정되지 않았다"며 해명에 나섰지만 의료현장의 의료진들은 "이와 같은 발상 자체가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일단 전공의를 코로나19 의료현장에 동원 여부를 두고 일선 의료진들은 곱지 않는 시선을 보내고 있다.
당장 의료현장에 전공의 한명이 아쉬운 입장이고 전공의 3, 4년차가 전문의 시험 준비로 의료현장에서 빠져 있다손 치더라도 이 기간이 수련과정에서 중요한 시점이라는 게 일선 의료진의 설명이다.
서울권 S대학병원 흉부외과 교수는 "사실 수련과정 중 전문의 시험을 앞두고 있는 2개월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지난 4년간 임상현장에서 배운 것을 책을 보며 정리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시간"이라고 말했다.
그는 "전문의가 되고 난 이후에 돌이켜보면 전문의 고시를 준비하는 기간에 가장 많은 공부를 했고 또 이후에도 전문의로서 역할을 하는데 없어선 안될 기간이었다"면서 "이는 역량있는 전문의 배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전라권 한 응급의학과 교수도 "심각한 상황에서 의료인력 수급을 요청할 순 있다고 본다. 하지만 현재는 그 정도 상황은 아니다"라며 "일선 병원에서도 전공의 3~4년차 인력은 중요한데 차출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전했다.
수도권 한 내과 의사는 "동원하는 방식보다는 지원을 받아 추진하는 방식이 합리적"이라며 "제대로 보상이 있다면 의협심 넘치는 의사들이 적극 나설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더 우려섞인 시선을 보내는 이유는 코로나19 동원과 전문의 고시 면제 여부를 연계한 것.
앞서 복지부는 코코나19여파로 전공의 연차별 수련교과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전공의에게도 전문의 시험 자격을 허용한 상황. 복지부는 병원 내 환자감소 및 의료인의 외부활동 수행 어려움으로 수련과정 이수에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응시 기준을 완화하기로 했다.
가령, 외부 학술대회는 4년차에 참석해야하는 학술회의는 면제하고 원내 학술대회(집담회)는 온라인 학회도 인정해주고 참석 요건도 연 50회 이상(4년찬 총 200회 이상)에서 참석 횟수 기준을 50%로 크게 낮췄다.
빅5병원 한 의료진은 "정부의 발상에 모욕감을 느꼈다"며 "전문의를 양성하는 과정은 수십년간 각 전문과목 학회가 유지해온 것인데 이를 정부가 한순간에 뒤집을 수 있다는 시각자체가 우려스럽다"고 했다.
복지부가 해명자료를 통해 자격시험 면제는 정부가 독단적으로 결정할 수 없는 사안으로 의료계와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의료계는 곱지 않은 시선이 이어지고 있다.
수도권 한 대학병원 교육수련부장은 "전문의 시험은 이를 통해 자격여부를 판단하는 것인데 몸으로 때우고 자격을 얻는다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얘기"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는 국민들도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의료진의 역량을 평가해 전문의 자격을 줘야지 몸으로 때웠다고 자격을 준다면 의료진 질 관리에도 문제가 생긴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