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화기학회 DDW서 SEAVUE 연구 결과 공개 투약 1년 시점 임상적 관해율 61~64.9% 기록
기대를 모았던 스텔라라(성분명 우스테키누맙) 대 휴미라(성분명 아달리무맙)의 크론병 대상 헤드 투 헤드 연구가 우위를 가리지 못한채 종료됐다.
투약 1년 후 임상적 완화 정도는 두 군 모두 비슷했고, 내시경적 관해율 역시 엇비슷했다.
만성 염증성 장질환인 크론병을 대상으로 스텔라라와 휴미라의 효능 및 안전성을 직접 비교한 SEAVUE 연구가 최근 성료된 진행된 미국 소화기질환 연례회의(2021 Digestive Disease Week)에서 발표됐다.
스텔라라(좌), 휴미라(우)이번 연구 결과는 킨텔레스(성분명 베돌리주맙)와 휴미라를 직접 비교한 VARSITY 연구 이후 약 2년만에 나왔다. 궤양성 대장염 환자를 대상으로 한 VARSITY 연구에선 킨텔레스가 휴미라 대비 치료 52주차 장기적인 관해 유지율에서 우월성을 보인 바 있다.
SEAVUE 연구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면역억제제로 조절이 어려운 386명의 중등도~중증 크론병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환자들의 크론병활성지수(CDAI)는 220~450로, 장내시경 검사에서 궤양이 최소 1개 이상 검출됐다.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