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보건의료정보원, 2차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 개최
이강호 국장 "디지털 기반 IT 선진 건강관리체계 앞당길 것"
데이터3법 개정 등 정책변화에 따른 의료데이터 활용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임근찬)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정책 추진방향'을 주제로 22일 제2차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은 '데이터3법' 개정 등 정책 여건 변화에 따라 데이터 활용현장 의견을 지속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서 지난 4월 출범한 바 있다.
앞서 1차 포럼에서는 보건의료데이터·인공지능 활용 혁신 중장기 전략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하고 심도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공공기관·의료계·학계·산업계 등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의 저해요인을 진단하고, 향후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기조 발표자인 가톨릭대학교 김헌성 교수는 안전성, 품질, 효과성, 수요자 만족도, 효율성, 인구집단 건강추세, 형평성을 기준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를 진단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의 바람직한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의료기관과 환자 각각의 역할을 제시했다.
첫 번째 발표로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김동진 팀장이 공공분야에서 지자체 보건소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 사례를 소개하고 개선 필요과제를 발표했다.
현재 추진 중인 사례는 ①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②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③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④ 아동·청소년 모바일 헬스케어 등이다.
주요 개선 과제로는 대상자의 라이프로그(life log) 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한 표준화,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PHIS) 연계·활용 추진 등을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로는 메디플러스솔루션 배윤정 대표가 대장, 위, 유방, 전립선 등 주요 암 질환자 대상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 디지털 헬스케어 사례와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는 산업계의 경우 관련 규제 및 데이터 소유권 해석 명확화에 대한 요구가 높고 파편화된 보건의료데이터의 통합 활용방안 마련 및 기술 평가, 보상 제도 개선 등 사업화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 포럼에서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 정책에 지속 반영·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분야로 디지털 기반 IT 선진 건강관리체계를 앞당기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오늘 포럼에서 각계 전문가들의 다양하고 심도깊은 논의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임근찬 한국보건의료정보원장은 "국내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원장 임근찬)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정책 추진방향'을 주제로 22일 제2차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보건의료데이터 혁신포럼은 '데이터3법' 개정 등 정책 여건 변화에 따라 데이터 활용현장 의견을 지속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서 지난 4월 출범한 바 있다.
앞서 1차 포럼에서는 보건의료데이터·인공지능 활용 혁신 중장기 전략에 대해 각계 전문가들이 다양하고 심도깊은 논의를 진행했다.
이번 포럼에서는 공공기관·의료계·학계·산업계 등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의 저해요인을 진단하고, 향후 보건의료데이터 정책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날 기조 발표자인 가톨릭대학교 김헌성 교수는 안전성, 품질, 효과성, 수요자 만족도, 효율성, 인구집단 건강추세, 형평성을 기준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의 현재를 진단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의 바람직한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의료기관과 환자 각각의 역할을 제시했다.
첫 번째 발표로는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김동진 팀장이 공공분야에서 지자체 보건소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디지털 헬스케어 사례를 소개하고 개선 필요과제를 발표했다.
현재 추진 중인 사례는 ①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② 의료취약지 의료지원 시범사업, ③ AI·IoT 기반 어르신 건강관리, ④ 아동·청소년 모바일 헬스케어 등이다.
주요 개선 과제로는 대상자의 라이프로그(life log) 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한 표준화,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PHIS) 연계·활용 추진 등을 제시했다.
두 번째 발표로는 메디플러스솔루션 배윤정 대표가 대장, 위, 유방, 전립선 등 주요 암 질환자 대상의 건강관리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 디지털 헬스케어 사례와 발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특히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는 산업계의 경우 관련 규제 및 데이터 소유권 해석 명확화에 대한 요구가 높고 파편화된 보건의료데이터의 통합 활용방안 마련 및 기술 평가, 보상 제도 개선 등 사업화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 포럼에서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 정책에 지속 반영·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복지부 이강호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디지털 헬스케어는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분야로 디지털 기반 IT 선진 건강관리체계를 앞당기게 될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오늘 포럼에서 각계 전문가들의 다양하고 심도깊은 논의가 디지털 헬스케어 활성화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임근찬 한국보건의료정보원장은 "국내의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