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성호 의약학술팀 기자
"데이터를 요청했는데 6개월 후에나 받을 수 있답니다."
이는 한 국내 제약사 임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두고서 기자에게 한 하소연이다.
사정은 이렇다. A제약사 임원은 만성질환 관련 전문의약품 시장을 분석하기 위해 심평원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기로 마음먹었다. 하지만 심평원은 먼저 데이터를 요청한 이들의 송출을 이유로 원하는 데이터를 받기 위해선 적어도 6개월은 대기해야 한다고 답했다.
심평원 빅데이터를 두고서 또 다른 이유로 B제약사는 이참에 원주 혁신도시를 직접 찾아가 사정할 참이다. 전국 병‧의원의 주요 진료과목 데이터를 요청했지만 심평원이 향후 이들의 진료과목들이 변할 수 있는 등 일정치 못하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시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 모두 상관없다고 말해봤지만 답변은 'NO'였다.
이로 인해 B제약사는 조사원을 대거 채용, 직접 수작업으로 전국 병‧의원들의 주요 진료과목들을 조사하는 형편이다. B제약사 임원은 "새로운 형식의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검토한다고 하면서도 빅데이터 제공에 상당히 인색하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물론 이것만을 가지고 심평원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두고서 일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심평원은 이미 보건‧의료분야 최초로 2013년부터 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면서 최근에는 데이터 결합전문기관으로서도 인정받는 등 해당 분야의 핵심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하는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에 참여하며 보유하고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를 가지고 자체적인 사업화도 구상하고 있다.
하지만 심평원 데이터 활용을 원하는 연구자 혹은 업체들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빅데이터 분야 입지 강화에 치중한 나머지 정작 핵심 가치로 여겨졌던 연구 및 민간 신사업 지원에는 소홀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심평원이 가진 보건‧의료 데이터를 받는 데에만 6개월을 '줄서야' 하는 사례만 봐도 그렇다. 제한된 시스템과 인력으로 인해 제공할 수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가 한정됨에 따른 것인데 그렇다면 무엇보다 이 부분에 대한 예산 투자가 우선돼야 하지 않을까.
자신들이 보유한 보건‧의료 데이터를 꽁꽁 사매고만 있을 생각이 아니면 말이다. 이제는 AI로 신약을 개발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그러나 더딘 공공 보건‧의료 데이터 제공이 민간 디지털 헬스케어 구축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위축시키는 건 아닐지 우려스럽기만 하다.
이는 한 국내 제약사 임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두고서 기자에게 한 하소연이다.
사정은 이렇다. A제약사 임원은 만성질환 관련 전문의약품 시장을 분석하기 위해 심평원이 보유한 공공 데이터를 활용하기로 마음먹었다. 하지만 심평원은 먼저 데이터를 요청한 이들의 송출을 이유로 원하는 데이터를 받기 위해선 적어도 6개월은 대기해야 한다고 답했다.
심평원 빅데이터를 두고서 또 다른 이유로 B제약사는 이참에 원주 혁신도시를 직접 찾아가 사정할 참이다. 전국 병‧의원의 주요 진료과목 데이터를 요청했지만 심평원이 향후 이들의 진료과목들이 변할 수 있는 등 일정치 못하다는 이유로 난색을 표시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상황 모두 상관없다고 말해봤지만 답변은 'NO'였다.
이로 인해 B제약사는 조사원을 대거 채용, 직접 수작업으로 전국 병‧의원들의 주요 진료과목들을 조사하는 형편이다. B제약사 임원은 "새로운 형식의 데이터를 요구할 경우 검토한다고 하면서도 빅데이터 제공에 상당히 인색하다는 인상을 받았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물론 이것만을 가지고 심평원이 보건‧의료 빅데이터를 두고서 일을 하고 있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심평원은 이미 보건‧의료분야 최초로 2013년부터 빅데이터개방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면서 최근에는 데이터 결합전문기관으로서도 인정받는 등 해당 분야의 핵심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여기에 정부가 추진하는 '마이 헬스웨이' 플랫폼에 참여하며 보유하고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를 가지고 자체적인 사업화도 구상하고 있다.
하지만 심평원 데이터 활용을 원하는 연구자 혹은 업체들 입장에서는 자신들의 빅데이터 분야 입지 강화에 치중한 나머지 정작 핵심 가치로 여겨졌던 연구 및 민간 신사업 지원에는 소홀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가질 수밖에 없는 대목이다.
심평원이 가진 보건‧의료 데이터를 받는 데에만 6개월을 '줄서야' 하는 사례만 봐도 그렇다. 제한된 시스템과 인력으로 인해 제공할 수 있는 보건‧의료 데이터가 한정됨에 따른 것인데 그렇다면 무엇보다 이 부분에 대한 예산 투자가 우선돼야 하지 않을까.
자신들이 보유한 보건‧의료 데이터를 꽁꽁 사매고만 있을 생각이 아니면 말이다. 이제는 AI로 신약을 개발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그러나 더딘 공공 보건‧의료 데이터 제공이 민간 디지털 헬스케어 구축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위축시키는 건 아닐지 우려스럽기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