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글로불린주사제 급여기준 하루만에 검토해 기준 설정
백신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현재까지 2건 확인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우리나라에서 현재까지 2건이 확인된 희소한 질환으로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회복 가능한 질환이다.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치료에 필요한 면역글로불린주사제(Human Immunoglobulin G 주)는 이미 일부 질환에 대해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지만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급여 대상이 아니었다.
심평원은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시점을 놓치지 않도록 최신 의학적 경험사례 및 질병관리청 권고안을 반영해 해당 치료제 급여기준을 신속하게 결정한 것.
추가된 급여기준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이 추정 또는 확진된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급여가 인정된다. 투여 대상 환자는 혈소판 5만이하 또는 주요장기 출혈이 동반되고 혈소판 10만이하일 때다. 투여용량은 '1g/kg/day ×2일'이다.
김애련 약제관리실장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연일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민 안전을 위해 통상적으로 80일 이상 소요되는 일반 약제 급여기준을 단 하루 만에 검토하고 신속히 급여기준을 설정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민이 염려하는 백신 부작용이 발생할 경우 의료현장에서 환자증상에 맞는 치료제를 적시에 투여 가능하도록 안전망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