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2000만원인 지원한도 3000만원으로 상향
저소득층을 위한 재난적의료비 지원율이 최대 80%, 최고 3000만원까지 확대된다.
건강보험공단은 이달부터 재난적의료비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다고 1일 밝혔다.
본인부담 의료비 지원비율을 일괄 50%에서 소득수준별로 최대 80%까지 확대하고, 연간 2000만원인 지원한도도 3000만원으로 상향한다는 게 골자다.
재난적의료비 지원 대상은 모든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또는 중증질환으로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다. 중증질환은 암을 비롯해 뇌혈관·심장·희귀·중증난치질환, 중증화상이다.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 의료비의 80% 범위 내로 대폭 확대하고, 기준중위소득 50% 이하는 70% 범위 내,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는 60% 범위 내로 확대했다.
기준중위소득 100% 초과 200% 이하 가구가 의료비 부담이 큰 경우에는 현행대로 개별심사를 통해 본인부담 의료비(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금 제외)의 50% 범위 내에서 지원 받을 수 있다.
상반기에는 저소득층의 지원 대상 및 범위 확대를 위해 의료비 본인부담 기준금액 인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의 입원 중 지원 신청기한 완화, 희소‧긴급의료기기에 대한 비용 지원 등을 개선한 바 있다.
이상일 급여상임이사는 "앞으로도 더 많은 제도 개선을 통해 과도한 의료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의 탄탄한 의료안전망 역할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건강보험공단은 이달부터 재난적의료비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재난적의료비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다고 1일 밝혔다.

재난적의료비 지원 대상은 모든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 또는 중증질환으로 외래진료를 받은 환자다. 중증질환은 암을 비롯해 뇌혈관·심장·희귀·중증난치질환, 중증화상이다.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본인부담 의료비의 80% 범위 내로 대폭 확대하고, 기준중위소득 50% 이하는 70% 범위 내, 기준중위소득 50% 초과 100% 이하는 60% 범위 내로 확대했다.
기준중위소득 100% 초과 200% 이하 가구가 의료비 부담이 큰 경우에는 현행대로 개별심사를 통해 본인부담 의료비(건강보험 적용 본인부담금 제외)의 50% 범위 내에서 지원 받을 수 있다.
상반기에는 저소득층의 지원 대상 및 범위 확대를 위해 의료비 본인부담 기준금액 인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의 입원 중 지원 신청기한 완화, 희소‧긴급의료기기에 대한 비용 지원 등을 개선한 바 있다.
이상일 급여상임이사는 "앞으로도 더 많은 제도 개선을 통해 과도한 의료비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계층의 탄탄한 의료안전망 역할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