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덕철 복지부 장관, 병상 운영 시스템 전환 계획 발표
불가피한 경우만 입원…지속가능한 의료 대응체계로 전환
앞으로 코로나19 확진자는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전환된다. 현재 병상 운영 시스템으로는 지속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은 29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합동 브리핑에서 새롭게 바뀌는 병상 대응체계를 발표했다.
이번 병상 운영 계획의 핵심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계속 유지해왔던 '입원' 중심 의료체계를 '재택치료' 원칙으로 전환한 것. 그만큼 병상 등 의료대응 체계가 한계치에 왔다는 반증이다.
■코로나19치료 현재 입원중심→재택치료 원칙으로 대전환
권 장관은 "모든 확진자는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하되,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만 입원을 한다"면서 "보다 일상적인 의료대응체계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일상회복에 따른 경증, 무증상 확진자를 입원 중심의 의료체계로 계속 대응하는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고 의료자원의 소모가 크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그는 이어 "앞으로는 재택치료에 대한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확진자가 기본으로 재택치료로 배정된다"면서 "입원 요인이 있는 경우에만 병상을 배정받는 것으로 전환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재택치료 중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한다. 확진 즉시 의료기관의 건강관리가 이뤄지고 산소포화도 측정기, 체온계 등 필요한 재택치료 키트를 제공한다.
재택치료 중 증상 변화가 있거나 환자가 원하는 경우 검사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단기외래 진료센터도 운영한다.
권 장관은 "재택치료가 생활치료센터보다 부담이 큰 점을 고려해 생활지원금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면서 "항체치료제도 필요한 경우 단기외래센터에서 투여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재택치료가 어려운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생활치료센터도 2,000병상 추가 확충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행정명령 통해 추가병상 지속 확충 예고
또한 권덕철 장관은 이후로도 행정명령을 통한 추가병상 확충 계획도 발표했다.
이미 실시한 행정명령을 신속하게 이행함과 동시에 필요시 추가적인 행정명령도 검토하겠다는 것.
그는 "현재 거점 전담병원 4개소를 신규로 지정했고, 11월 1달 동안 687병상을 확보했다"면서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중환자실과 준중환자실 471개를 비롯해 2,700여 개 이상의 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학병원의 중등증병상에 장비와 인력을 보강해 중증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할 계획도 밝혔다.
그는 "병실당 입원 가능한 환자 수도 의료현장의 판단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조치했다"면서 "투석이나 외상 등에 대비한 특화병원과 돌봄환자와 정신질환자를 전담하는 중등증병상도 계속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병상 활용도 지속 확대…요양병원 등 접촉면회 중단
복지부는 조기퇴원 및 환자전원 등 병상 활용도를 높여 더 많은 환자가 치료받도록 할 예정이다.
일단 인력부족이 극심한 병원에 중환자 치료 경험이 있는 의료인력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 현재 2,412명의 의료인력을 지원 중으로 이중 중환자실 근무를 희망하는 간호사는 500여명이다.
이와 함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 접촉 면회를 중단하는 등 방역을 강화하고, 종사자 중 미접종자는 간병 등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업무에서 배제키로 했다.
이어 미접종자의 입원시에는 입원 직전과 3일 차에 각각 PCR 검사를 받고 격리실에서 4일간 대기하도록 기준을 강화했다.
권 장관은 "일상회복 전환에 있어 많은 중증환자 발생과 의료체계의 문제가 의료체계의 심각한 상황이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정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 3차 접종과 미접종자의 접종을 추진하는 한편, 의료체계 확충과 방역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권덕철 장관은 29일 코로나19 대응 특별방역점검회의 합동 브리핑에서 새롭게 바뀌는 병상 대응체계를 발표했다.
이번 병상 운영 계획의 핵심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계속 유지해왔던 '입원' 중심 의료체계를 '재택치료' 원칙으로 전환한 것. 그만큼 병상 등 의료대응 체계가 한계치에 왔다는 반증이다.
■코로나19치료 현재 입원중심→재택치료 원칙으로 대전환
권 장관은 "모든 확진자는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하되, 재택치료가 불가능한 경우에만 입원을 한다"면서 "보다 일상적인 의료대응체계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일상회복에 따른 경증, 무증상 확진자를 입원 중심의 의료체계로 계속 대응하는 것은 지속 가능하지 않고 의료자원의 소모가 크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그는 이어 "앞으로는 재택치료에 대한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확진자가 기본으로 재택치료로 배정된다"면서 "입원 요인이 있는 경우에만 병상을 배정받는 것으로 전환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재택치료 중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한다. 확진 즉시 의료기관의 건강관리가 이뤄지고 산소포화도 측정기, 체온계 등 필요한 재택치료 키트를 제공한다.
재택치료 중 증상 변화가 있거나 환자가 원하는 경우 검사나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단기외래 진료센터도 운영한다.
권 장관은 "재택치료가 생활치료센터보다 부담이 큰 점을 고려해 생활지원금을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면서 "항체치료제도 필요한 경우 단기외래센터에서 투여가 가능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재택치료가 어려운 확진자가 다수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생활치료센터도 2,000병상 추가 확충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행정명령 통해 추가병상 지속 확충 예고
또한 권덕철 장관은 이후로도 행정명령을 통한 추가병상 확충 계획도 발표했다.
이미 실시한 행정명령을 신속하게 이행함과 동시에 필요시 추가적인 행정명령도 검토하겠다는 것.
그는 "현재 거점 전담병원 4개소를 신규로 지정했고, 11월 1달 동안 687병상을 확보했다"면서 "12월까지 순차적으로 중환자실과 준중환자실 471개를 비롯해 2,700여 개 이상의 병상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대학병원의 중등증병상에 장비와 인력을 보강해 중증 진료를 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할 계획도 밝혔다.
그는 "병실당 입원 가능한 환자 수도 의료현장의 판단에 따라 변경 가능하도록 조치했다"면서 "투석이나 외상 등에 대비한 특화병원과 돌봄환자와 정신질환자를 전담하는 중등증병상도 계속 확보하겠다"고 덧붙였다.
■병상 활용도 지속 확대…요양병원 등 접촉면회 중단
복지부는 조기퇴원 및 환자전원 등 병상 활용도를 높여 더 많은 환자가 치료받도록 할 예정이다.
일단 인력부족이 극심한 병원에 중환자 치료 경험이 있는 의료인력을 우선적으로 지원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 현재 2,412명의 의료인력을 지원 중으로 이중 중환자실 근무를 희망하는 간호사는 500여명이다.
이와 함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에 접촉 면회를 중단하는 등 방역을 강화하고, 종사자 중 미접종자는 간병 등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업무에서 배제키로 했다.
이어 미접종자의 입원시에는 입원 직전과 3일 차에 각각 PCR 검사를 받고 격리실에서 4일간 대기하도록 기준을 강화했다.
권 장관은 "일상회복 전환에 있어 많은 중증환자 발생과 의료체계의 문제가 의료체계의 심각한 상황이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정부는 모든 노력을 다해 3차 접종과 미접종자의 접종을 추진하는 한편, 의료체계 확충과 방역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