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코로나 대응위원회 주최 공청회서 코로나 대책 제시
현장과 다른 병상 현황판 등 문제점 수두룩…전문가 포함 협의체 제안
"지금 바꾸지 않으면 위기 상황이 또 닥쳤을 때 문제점은 반복될 것이다."
"적어도 1년 후에는 지금보다는 나은 의료환경을 마련해야한다."
국민의힘 코로나19 위기대응위원회가 주최한 28일 '위드코로나로 붕괴된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한 공청회'에서 의료현장의 전문가들은 위드코로나 이후 의료체계 붕괴 사례를 공개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패널들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마련해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국민의힘 코로나19 대응위원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정책 제안을 내놨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서연주 수련이사(여의도 성모병원)는 임신 28주차에 하혈로 응급실을 찾았지만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해 결국 뱃속의 아기를 잃은 사례부터 인공호흡기 장치가 부족해서 호흡곤란을 호소하던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 등 처절한 의료현장 상황을 발표했다.
서 수련이사가 제시한 문제점은 ▲병상 ▲의료인력 및 인프라 ▲환자배송 및 이송 등 3가지.
그는 특히 정부의 중앙병상 계측 시스템과 의료현장의 오차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부 계측 시스템에선 병상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이송 가능한 중증병상은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여의도성모병원 홍성진 교수(마취통증의학과) 또한 "정부가 수도권에 114병상이 남아있다고 발표한 당일 실제로 전원을 위해 확인해본 결과 수도권부터 충청권까지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상은 0곳이었다"면서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의 신뢰할 수 없는 정보로 의료현장은 혼란이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의료인력 부족에 대한 문제점도 거듭 제기됐다. 서연주 수련이사는 코로나 전담병원은 중증환자 케어가 가능한 전문인력이 부족해 중등증에서 중증으로 악화되는 환자에게 적절한 대처를 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내과 전문의 군의관이 단순 인턴 업무를 수행하는 등 비효율적으로 의료인력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홍성진 교수는 "비코로나 환자에 대해선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면서 "재난 상황이에서 일반 진료에 대한 피해가 없을 순 없지만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도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상황판에 따르면 27일 12시 기준으로 국회 10km반경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응급실은 0곳이라며 심각성을 알렸다.
그는 "의료진 감염 등 의료인력 부족이 주된 원인"이라며 "코로나 전담병원의 나비효과로 정작 코로나 환자가 수술, 내시경, 분만, 투석 등 의료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개방형 응급실을 1인실형으로 전환하고 응급실 음압격리실 운영을 위한 추가적인 인력지원과 코로나 병동에 준한 의사, 간호사에 대한 보상을 제안했다.
이어 응급의료기관 긴급 현황조사를 통해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의료현장의 전문가를 포함한 협의체 구축할 것을 대책으로 내놨다.
그는 "지금까지 사후대책은 땜질식 처방이었으며 전문가 의견은 무시된 졸속처방으로 현장과 괴리가 발생했다"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격려나 위로가 아니라 실행가능한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 코로나19대응위원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전국의 중환자실과 응급실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현황판을 재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재택치료 및 생활치료센터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치료 정책을 즉각 수립하고, 방역 일선에 있는 공무원과 민간 근로자를 위한 인력 재배치, 인력 증원, 수당 증액, 근무지침 개선 등 필요한 조치를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적어도 1년 후에는 지금보다는 나은 의료환경을 마련해야한다."
국민의힘 코로나19 위기대응위원회가 주최한 28일 '위드코로나로 붕괴된 의료체계 정상화를 위한 공청회'에서 의료현장의 전문가들은 위드코로나 이후 의료체계 붕괴 사례를 공개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패널들은 정부가 일방적으로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대책을 마련해나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한 국민의힘 코로나19 대응위원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정책 제안을 내놨다.
대한전공의협의회 서연주 수련이사(여의도 성모병원)는 임신 28주차에 하혈로 응급실을 찾았지만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해 결국 뱃속의 아기를 잃은 사례부터 인공호흡기 장치가 부족해서 호흡곤란을 호소하던 환자가 사망하는 사례 등 처절한 의료현장 상황을 발표했다.
서 수련이사가 제시한 문제점은 ▲병상 ▲의료인력 및 인프라 ▲환자배송 및 이송 등 3가지.
그는 특히 정부의 중앙병상 계측 시스템과 의료현장의 오차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정부 계측 시스템에선 병상이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이송 가능한 중증병상은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여의도성모병원 홍성진 교수(마취통증의학과) 또한 "정부가 수도권에 114병상이 남아있다고 발표한 당일 실제로 전원을 위해 확인해본 결과 수도권부터 충청권까지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병상은 0곳이었다"면서 괴리가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의 신뢰할 수 없는 정보로 의료현장은 혼란이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의료인력 부족에 대한 문제점도 거듭 제기됐다. 서연주 수련이사는 코로나 전담병원은 중증환자 케어가 가능한 전문인력이 부족해 중등증에서 중증으로 악화되는 환자에게 적절한 대처를 하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했다.
그는 이어 내과 전문의 군의관이 단순 인턴 업무를 수행하는 등 비효율적으로 의료인력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홍성진 교수는 "비코로나 환자에 대해선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면서 "재난 상황이에서 일반 진료에 대한 피해가 없을 순 없지만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응급의학의사회 이형민 회장도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상황판에 따르면 27일 12시 기준으로 국회 10km반경 응급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응급실은 0곳이라며 심각성을 알렸다.
그는 "의료진 감염 등 의료인력 부족이 주된 원인"이라며 "코로나 전담병원의 나비효과로 정작 코로나 환자가 수술, 내시경, 분만, 투석 등 의료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개방형 응급실을 1인실형으로 전환하고 응급실 음압격리실 운영을 위한 추가적인 인력지원과 코로나 병동에 준한 의사, 간호사에 대한 보상을 제안했다.
이어 응급의료기관 긴급 현황조사를 통해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의료현장의 전문가를 포함한 협의체 구축할 것을 대책으로 내놨다.
그는 "지금까지 사후대책은 땜질식 처방이었으며 전문가 의견은 무시된 졸속처방으로 현장과 괴리가 발생했다"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격려나 위로가 아니라 실행가능한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민의힘 코로나19대응위원회는 기자회견을 통해 전국의 중환자실과 응급실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현황판을 재구축할 것을 제안했다.
이와 함께 재택치료 및 생활치료센터 환자를 대상으로 조기치료 정책을 즉각 수립하고, 방역 일선에 있는 공무원과 민간 근로자를 위한 인력 재배치, 인력 증원, 수당 증액, 근무지침 개선 등 필요한 조치를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