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이 3년차에 접어들었다. 표면적으로 느끼는 가장 큰 변화는 확진자 수에 관련된 사람들의 반응이다. 11일 기준 코로나19 신규확진자는 5만 3296명. 이틀째 5만명대를 유지하면서 누적 확진자만 123만명을 넘어섰다.
2년 전 전국에서 1000명대의 확진자가 첫 등장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의 감염 우려 및 공포감은 극에 달했지만 지금은 본인을 포함해 확진자 수치에 민감한 사람을 보기 드물어졌다.
수치 폭증이 말해주는 건 이제 더 이상 감염은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닌 내 주변의, 나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신규 감염자가 늘어나면서 주변의 감염 사례가 심심찮게 목격된다. 주위 동료가, 친구가, 지인이 확진되는 사례가 나타난다. 그렇다고 그들이 방역에 무심했다거나 방역에서의 어떤 일탈이 있었던 것도 아니다.
이쯤되면 코로나19 감염은 감기와 같이 운에 맞길 수밖에 없는 '복불복' 상황에 가깝다고 보는 게 맞다. 감기에 걸렸다고 그들의 방역 의식이나 개인 위생을 탓하지 않는 것처럼 치명률이 낮아진 오미크론 변이 발생 이후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엔 그에 적합한 방역 지침 변화가 요구된다.
스웨덴이 방역 조치를 해제한 가운데 영국도 이달 방역 규제 전면 종료할 방침이다. 미국도 주요 주들이 마스크 의무화 해제 등 완화 방침을 밝히고 있다. 정부도 이런 상황에서 변화를 선택했다. 고위험군 외엔 '셀프치료', '재택치료'를, 확진자가 발생 시 감염 동선 추적도 중단했다. 또 4차 부스터샷도 고령자나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에만 하는 방안을 검토중에 있다.
문제는 메세지의 일관성이다. 60대 이하는 독감처럼 관리한다는 정부의 메세지와 달리 아직까지 6명의 사적모임 인원 제한 및 식당·카페 등의 9시 영업시간 제한과 같은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는 현재진행형이다.
확진자 동선 추적도 포기한 마당에 QR 코드를 통한 전자출입명부 등 다중이용시설 출입명부 작성은 실효성이 있을까. 변이 발생으로 백신 접종이 더 이상 신규 확진자 예방에 효율적이지 않다는 의견에도 고집되는 방역패스 또한 눈총의 대상이 되는 건 당연한 이치. 코로나19의 엔데믹(풍토병)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정부의 메세지와 실제 지침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확진자 수가 늘었다고는 해도 중증으로의 전환이나 사망률에선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코로나 100만 시대, 코로나19가 엔데믹으로 변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희생을 전제로 한 공포 마케팅/지침은 더 이상 통할 수 없다. 정부가 일관된 메세지를 전달하지 않는다면 사회적인 갈등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