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우 의약학술팀 기자
코로나 대유행을 겪으면서 바이오벤처는 주목도는 물론 주가 면에서도 '핫'했다.
코로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유독 부각된 측면도 있지만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성장과 국내 기술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투자 규모가 역대급으로 늘어났다는 측면이 더 컸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조에 변화가 감지되는 중이다. 인터뷰 등을 통해 만나게 된 바이오벤처의 대표들에게서 투자를 받는 게 이전보다 더 힘들어진 것 같다는 말이 심심치 않게 들린다.
이러한 변화의 이유는 뭘까? 우선은 최근 호황을 누렸던 기업공개(IPO)의 길이 순탄치 않거나 성과가 이전만 못하다는 게 크다. 사실상 유일한 출구전략으로 불리는 IPO가 원활하지 못하게 되면서 투자가 위축되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투자자체가 중단된 것은 아니라는 게 벤처캐피탈 업계의 시각. 과거보다 기업의 선정이나 투자 규모에 대해서 신중해졌다는 설명이다.
이 때문에 많은 바이오사들은 국내에도 미국과 같이 M&A가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M&A역시 바이오사의 IPO 전략과 맞물려 오히려 제동이 걸리는 측면도 존재한다.
IPO를 위해서 많은 기업들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데 집중하고 이 때문에 소위 덩치가 커지는 상황을 맞닥뜨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 아직 현금흐름이 상대적으로 약한 국내 제약사에서는 M&A를 추진하기 어렵고 바이오사 입장에선 글로벌 거래를 바라볼 수밖에 없게 된다. 문제는 글로벌 시장에서 M&A는 것은 난이도가 더 높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많은 벤처캐피탈이 지적하는 긍정적인 이벤트(사건)의 부재가 다시 문제로 언급된다. 국내에서 라이선스 아웃 소식이 들리고는 있지만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절대적인 숫자 자체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즉, 국내 바이오사들이 기술력을 강조하고 파이프라인 확장에 나서고 있지만 전임상 혹은 1상 단계에 대부분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M&A혹은 IPO를 위해서는 이제 한 단계 더 나아간 성과를 보여야 한다는 것.
한 벤처캐피탈 이사는 기자와의 만남에서 이러한 이유로 교수나, 의사 등 연구에 기반이 된 창업보다는 제약산업계에 대한 경험이 있는 부분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언급했다.
흘러가는 말이었지만 현 시점에서는 기술이 보여주는 장밋빛 미래보다는 현실에서 보여줄 수 있는 성과가 투자로 연결된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근 새롭게 창업한 바이오벤처는 자신들을 4세대라고 지칭한다. 1세대부터 4세대까지 바이오사를 되새김질해보면 기억에 남는 기업은 손에 꼽는다. 바이오벤처가 기술력을 바탕으로 파이프라인과 미래 비전을 강조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투자기조가 다시 경색의 흐름으로 변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국내 바이오산업이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장밋빛 미래 외에도 충실한 현실의 발걸음이 더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