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비디비딥]심평원 '손에 잡히는 의료 심사·평가 길잡이' 분석
급여비 중 CT, MRI 등 특수장비 비용 4.1% 차지…3833억원 수준
우리나라 의사 한 명당 매월 평균 1156명의 환자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양병원과 정신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들은 월평균 1000명이 넘어가는 환자를 보고 있어 업무 강도가 특히 높은 편이었다.
우리나라에서 근무하고 있는 의사 10명 중 4명은 개원가에서 일하고 있었으며, 83%는 전문의 자격을 갖고 있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의료자원, 건강보험 심사 등 주요 통계 정보를 담은 '2021년 손에 잡히는 의료 심사·평가 길잡이'를 최근 발간했다. 메디칼타임즈는 이중 의사인력 현황과 개원가 현안 중 하나인 특수의료장비 현황을 집중적으로 살펴봤다.
■임상 의사 82% 전문의…내과 전문의 압도적 최다
지난해 기준 병의원 등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의사는 10만9937명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많은 숫자인 4만6312명(42.1%)는 의원급에서 개원의 또는 봉직의로 활동하고 있었다. 나머지 40%는 상급종합병원(2만2629명)과 종합병원(2만1566명)에 퍼져 있었다.
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는 1만487명, 요양병원과 정신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는 각각 5363명, 1156명이었다. 의사면허를 갖고 한방병·의원이나 치과병·의원에서 일하는 의사도 492명, 27명 있었다.
임상에서 일하는 의사 10명 중 8명꼴인 82.8%(9만1053명)는 전문의 자격을 갖고 있었다. 진료과목별로 보면 내과 전문의가 1만7376명(19.1%)으로 가장 많았고 가정의학과 7115명, 정형외과 6738명 외과 6361명 순으로 나타났다.
진료과목에 따라 개원가와 병원급 이상에서 근무하는 비율에 차이가 있었다. 절대적인 숫자가 가장 많은 내과는 절반에 가까운 43.3%인 7539명이 개원가에 있었다. 종합병원에 4029명, 상급종병에 3504명, 병원에 1376명이 근무하고 있었다.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안과, 이비인후과, 피부과, 성형외과, 비뇨의학과, 가정의학과 등 8개 진료과는 절반 이상이 개원가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2021년 의사 한 명당 월평균 진료 환자 수는?
나아가 종별 의사 숫자와 건강보험, 의료급여, 자동차보험 영역 종별 입(내)원일수 데이터를 활용해 지난 한해 의사 한 명당 평균 매월 얼마나 많은 환자를 진료했는지 살펴봤다.
종별 진료환자 숫자는 절대적으로 작지만 해당 환자가 의료기관을 여러차례 이용하기 때문에 의사가 실질적으로 환자를 만나 의료행위가 일어난 횟수를 확인하기에 위해 입(내)원일수를 확인했다.
그 결과 지난해 의사 한 명당 매월 1156.3명의 환자를 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양병원과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의사는 각각 매월 1278.1명, 1047.7명의 환자를 봐야했다.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전문의 중에서는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1039명으로 약 4분의1을 차지했고 내과 834명, 외과 698명, 재활의학과 573명 순이었다.
정신병원에는 1156명의 의사 중 1097명가 전문의인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1006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상급종합병원에서 일하는 의사는 월 평균 233.4명의 환자를 진료했는데 이는 병의원 근무 의사 중 가장 적은 숫자였다. 개원가에서 일하는 의사는 월 평균 919.7명의 환자를 진료했다.
■전국에 CT 2183대, MRI 1836대, PET 179대 존재
심평원이 발간한 데이터에는 개원가 현안으로 떠오른 CT, MRI 등 특수의료장비 현황 통계도 들어있었다.
지난해 100조원에 육박하는 요양급여비 93조4984억원 중 CT, MRI, PET 등 특수장비 관련 비용은 4.1%에 불과하다. 금액은 3833억원 수준. 그 중에서도 CT료가 2.5%로 가장 높았다.
CT는 총 2183대가 있는데 상급종합병원 305대, 종합병원 608대, 병원 725대, 의원 510대 보유하고 있다. MRI는 1836대, PET는 179대가 있다.
정부는 CT, MRI 등 특수의료장비 공용병상 활용제도 폐지를 구체화하고 있으며, 일선 개원가는 "의료비 지출을 못 막는다"라며 반발하고 있다.
대한개원의협회에 이어 산하 진료과 의사회도 개별적으로 정부 움직임에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 개원가는 "환자에게 필요한 특수검사가 있으면 의료기관 규모와 상관없이 시행돼야 하는데 접근성만 낮추는 것은 의미 없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