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빨라진 당뇨병 대란 시계…3T 전략 필요"

발행날짜: 2022-11-15 05:31:00
  • 당뇨병학회, 당뇨병 위기관리 위한 정책포럼 개최
    "일반인 진단기준 몰라…검진에 당화혈색소 추가해야"

당뇨병 임상 전문가들이 당초 추계보다 30년 빨리 찾아온 당뇨병 유병환자 수 급증을 두고 정부 차원의 대책을 촉구하고 나섰다.

국민들이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등 진단기준에 대해 무지하다는 점에서 국가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를 도입하고 고위험군 추적 관찰 등 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14일 대한당뇨병학회는 국회박물관에서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포험'을 개최하고 현재 국내 당뇨병 환자 유병률 현황 및 향후 당뇨병 관리를 위한 대책을 모색했다.

당뇨병환자와 고위험군의 국가적 관리 필요성을 발표한 문준성 당뇨병학회 총무이사는 현 상황을 '2차 대란'으로 규정하고 국가적 대처의 시급성을 환기시켰다. 학회는 2012년 당뇨병 전단계와 환자를 합쳐 1000만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이에 경고 목소리를 내 왔다.

문 이사는 "당뇨병학회가 발표한 당뇨병 팩트시트 2021년 자료에 따르면 30세 이상 당뇨병 환자가 10년새 320만명에서 600만명으로 급증했다"며 "65세 이상에선 환자가 39%로 노인 당뇨병 관리 역시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4일 대한당뇨병학회는 국회박물관에서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포험'을 개최하고 국가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를 추가하는 등 3T 전략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는 "당뇨병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4년부터 2007년까지 공동 연구한 국내 당뇨병 역학역구 보고서에서는 당뇨병 환자가 2020년 455만명, 2030년 545만명으로 예상했다"며 "학회의 2012년 팩트시트는 2050년에서야 당뇨병 환자가 6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봤다"고 말했다.

당초 전문가들의 예상을 깨고 유병률, 환자 수는 상승 추세다. 2020년 기준 30세 이상 성인 6명 중 1명, 65세 이상 성인 10명 중 3명이 당뇨병으로 최근 유병률은 2017년 13.4%, 2018년 13.8%, 2019년 14.5%, 2020년 16.7% 등 더욱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당뇨병으로 인한 입원 시 비용은 10배 이상 소모되고 합병증 동반 시 최대 1만 1965 달러에 달하는 비용 증가가 발생한다. 특히 MZ세대에서의 당뇨병 발생률 증가 및 낮은 치료율, 유병 기간 따른 합병증 증가 위험을 고려하면 보다 철저한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다.

문 이사는 "MZ세대의 당뇨병 유병률 증가에 따라 한국인 당뇨병 선별 연령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며 "실제로 미국당뇨병학회는 올해 권고안을 통해 당뇨병 조기 검진 연령을 45세에서 35세로 낮췄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한당뇨병학회도 2형당뇨병 선별검사 지침 권고안을 변경해 40세 이상이거나 30세 이상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검사를 제시했지만 이를 35세 이상이거나 20세 이상이면서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로 강화했다"며 "당뇨병 대란 예방을 위해선 의료진 자체적인 대처보다 전 국가적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정부 차원의 대응책으로 Test(검진), Tracing(추적관찰), Treatment(치료)로 구성된 3T 전략을 제시한다"며 "국가 건강검진에 당화혈색소를 도입하고 고위험군을 추적관찰하며 민관 공동 대국민 캠페인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학회가 공개한 성인 1000명 대상 '당뇨병 인식 조사' 결과에서도 국가적 대책 주문이 이어졌다.

전체 응답자의 57.3%가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원규장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은 "이번 인식 조사 결과 국민의 약 90%가 당뇨병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숨어 있는 당뇨병 환자와 당뇨병 고위험군을 발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당화혈색소는 대부분 모르고 있었다"며 "일반인 역시 당뇨병을 걱정하고 있지만 본인의 혈당수치는 잘 모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 등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며 "이를 위해 학회 차원에서 대국민 캠페인과 교육 활동을 더욱 활발히 전개하는 한편 정부는 현재 공복혈당만 포함돼 있는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를 추가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어 "비만,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며 "중요한 것은 당뇨병에 대한 국가적 지원과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학술 기사

댓글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더보기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