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명 안과 전문의 녹내장 진단 및 치료 설문 조사
"정밀검사 통한 의심환자 관리 중요하다" 한 목소리
안과 의사 대부분 내원 환자 대상 정기적인 녹내장 정밀검사를 통해 질환 의심환자 관리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제 처방‧수술 등 체계적인 환자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정밀검사와 의심환자 관리가 필수사항이란 뜻이다.

동시에 안과 의사 10명 중 7명은 환자 녹내장 치료제 및 안압 강하제 처방 시 선호 제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를 꼽았다. '안압 하강효과'가 우수한 데다 '환자 투약 편의성'까지 우수한데에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메디칼타임즈는 2023년 3월 27일부터 5월 7일까지 녹내장 관련 환자 관리 및 수술 현황을 파악하고 치료제 처방 및 선호 약제 등을 파악하고자 안과 병‧의원 의사 4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은 녹내장을 세부전공으로 한 40명을 포함해 총 400명의 안과 의사를 대상으로 진행했다. 안과 세부 전공별로는 ▲안과 전반(85명) ▲각막(29명) ▲녹내장(40명) ▲망막(88명) ▲백내장(49명) ▲성형안과(24명) ▲외안부(34명) ▲전안부(43명) ▲기타(8명) 등으로 구성됐다.
우선 응답한 안과 의사의 하루 진료 환자 수는 다양하게 분포하는 가운데, '50명~100명'이 70.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 중 일일 진료 녹내장 환자는 '5~10명‘(41.5%)이 가장 높게 분포했다.
이 가운데 설문의 응답한 안과 의사 82.8%는 정기적인 녹내장 정밀검사를 통해 조기에 질환을 발견하고, 체계적인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의심환자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녹내장 수술 시행에 대해선 9.8%가 '그렇다'는 응답이며, 시신경 검사 시행에 대해선 83.3%가 '시행한다'고 응답해 높은 시행 비율을 기록했다.
아울러 녹내장 정밀검사 시행 시 안과 의사들은 '빛간섭단층촬영(73.5%)'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며, 다음은 '시야검사(68%)', '안압검사(60.8%)' 순으로 답변했다.
시신경 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한 녹내장 위험군 대상에 대해선 '정상 안압 범위 이상 높은 안압 환자'를 응답한 비율이 80.5%로 크게 높았다. 다음은 '안압이 정상이나 고도근시 환자(69.5%)'를 위험군으로 봤다.
그 외 안과 의사들은 '고령자 혹은 만성질환자(51.8%)와 장기적으로 스테로이드(STEROIDs) 제제를 처방 받은 환자(46.8%)'를 시신경 이상 여부 확인이 필요한 녹내장 위험군 대상으로 분류했다.
녹내장 치료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 선호

이 가운데 설문에 응답한 안과 의사들은 녹내장 치료제 및 안압 강하제 처방 시 선호 제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71%)를 단연 꼽았다.
선호 이유로 '안압 하강효과'가 단연 우수한데다 다음으로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는 '1회 점안‧점안 횟수 적음', '사용 간편‧투약 편의성 우수'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혔다.

프로스타글란딘 유도체 다음으로 '탄산탈수효소억제제(CAI)'는 상기 장점으로 first choice 및 추가적인 안하강이 요구 될 때, 둘 다 선호도가 높았다.
추가적인 안압 하강이 요구될 경우 '탄산탈수효소억제제+베타차단제'가 선호하는 제제로 꼽혔다.

아울러 응답자 중 36%가 녹내장 치료제 처방 시 무보존제 처방을 실시하며, 세부 전공이 녹내장일 경우 55%로 타 전공 대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치료제 처방 선택기준으로는 '환자가 현재 외안부 질환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5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나이, 성별, 직업 등 환자의 기본적인 특성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47.3%였다. '외안부 질환 징후가 있는 경우(42.8%)'도 치료제 처방 선택 기준에 포함됐다.

또 약의 보존을 위해 사용되는 화학 보존제 BAK(benzalkonium chloride, 염화벤젤코늄)가 있는 녹내장 치료 처방 시 우려하는 점으로 안과 의사들은 '각막의 상피세포 손상(40.3%)', '눈물층의 불안정화(37%) 등을 차례대로 꼽았다.

이와 함께 설문에 응답한 안과 의사 중 20.5%가 스테로이드(STEROIDs) 제제의 장기간 사용으로 약물 사용을 중단시켰음에도 만성적인 안압 상승이 된 환자를 경험했다고 답했다.

안과 의사들은 스테로이드(STEROIDs) 제제를 끊는(tapering) 기준에 대해선 '증상‧질환의 호전 및 환자의 상태'를 가장 많이 고려하며, '안압 수치', '염증 정도' 고려해 결정하고 있었다.
기간 측면에서는 '1주 간격으로 감량‧조절', '가능한 빨리 중단‧짧게 사용'한다는 등의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마지막으로 설문에 응답한 안과 의사 76.8%가 백내장 수술을 시행했으며, 수술 후 안압 상승 증가 치료를 위해 31%가 안압 하강제를 처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 수술 후 안압 상승 증가 치료 시 선호 약제로는 '탄산탈수효소억제제+베타차단제(73.3%)'가 단연 꼽혔다.
치료제 처방 기간으로는 '7일 이내'를 응답한 비율이 43.5%로 가장 높았고, '일주일'을 처방하는 비율이 28%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