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료원-대웅제약, 선도연구센터 참여로 연구 돌입
대웅 박준석 센터장 "근육 및 대사질환 타깃 신약 후보"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 바이오‧의료기기 분야가 주목받으면서 덩달아 대형병원에서도 산업화 붐이 일어나고 있다.
대형병원별로 자신들에게 맞는 분야를 특화‧발전시키는 동시에 관련 기업들을 유치해 의료진과의 협력을 이끌어내는데 집중하고 있는 것.
이 가운데 고려대학교의료원과 대웅제약이 손을 잡고 신약 개발에 나서면서 과연 성과를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최근 고대의료원은 대웅제약과 손을 잡고 '마이오카인 융합 선도연구센터'를 본격 운영하기 시작했다.
앞서 고대의료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시행하는 '2023 기초의과학 분야 선도연구센터(MRC)' 사업 선정에 선정돼 연구기간 7년(2023~2030년) 동안 총 94억 5000만원(연간 14억)의 정부 지원 연구비를 수주한 바 있다.
선도연구센터는 근육에서 분비되는 신개념 호르몬인 '마이오카인' 통합연구를 통해 임상 활용 가능성이 큰 제어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신규 마이오카인 발굴, 기전 규명 및 임상적 효용성 검증을 통해 근감소증과 대사질환 등 근육과 직접 관련된 질병뿐만 아니라 암, 노화, 퇴행성 뇌 질환 및 패혈증까지 적응증을 확대해 제어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여기서 마이토카인은 의학계에서 비교적 최근에 발견한 호르몬이다. 운동할 때 근육에서 발생하는 호르몬으로 BDNF, 아이리신, 아페린, IL-6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마이오카인은 근육에서 나오는 호르몬이지만 근육뿐 아니라 뇌, 혈관, 지방, 간, 췌장 등 우리 몸 곳곳에 영향을 미친다. 마이오카인의 대표적인 물질 중 하나인 아이리신은 지방에 관여하는데, 백색지방을 갈색지방으로 변화시켜 에너지 소모량을 높이고 지방을 연소시키며 대사질환의 위험성을 낮춘다.
이러한 이유에서 최근 글로벌에서도 마이토카인 호르몬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에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선도연구센터는 이에 따라 총 3그룹으로 나눠 치료제 개발을 위한 연구를 벌이기로 했다.
1그룹은 센터장인 고대의료원 김현수 교수(생리학교실)를 중심으로 시스템 구축과 암 치료에 있어 마이토카인의 호르몬의 활용 가능성 연구를 벌일 예정이다. 여기에 2그룹은 김동훈 교수(약리학교실)를 필두로 세포노화 기반 노인성 질환과 퇴행성 질환에서의 활용 가능성 연구를 벌인다.
마지막을 3그룹은 최경묵 교수(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중심으로 대사질환에서의 마이토카인 호르몬 활용 가능성 연구를 벌이기로 했다.
특히 3그룹에서는 대웅제약도 참여, 최종 신약개발에 있어 최종 치료제 개발의 마무리 역할을 맡았다.
선도연구센터장인 김현수 교수는 "마이토카인 호르몬 연구는 글로벌적으로 덴마크와 미국이 선도하고 있다. 이들과 선도연구센터를 비교한다면 기초연구와 개발과의 간극, 상업적 활용 경험이 부족하다"면서도 "하지만 대웅제약의 참여로 기업의 인프라를 활용해 중개연구 역량이 강화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피력했다.
함께 자리한 대웅제약 측은 대사질환에 있어 마이토카인 호르몬 연구를 향한 치료제 개발 의지를 드러냈다.
마이토카인 호르몬을 활용한 치료제 개발이 최근 임상현장에서 당뇨병과 비만 치료에 존재감이 커진 GLP-1(Glucagon like peptide-1) 주사제를 이을 수 있는 신약이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다.
대웅제약 박준석 신약센터장은 "마이토카인 호르몬이 앞으로 정말 중요해질 것 같다. 최근 GLP-1 주사제가 비만 치료제로 활용도가 커졌다"며 "그 다음 타깃은 마이토카인 호르몬이 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박준석 센터장은 "마인토카인 호르몬이 근육 관련 진단과 대사질환 치료에 있어 타깃이 되지 않을까 싶다"며 "대사질환과 재생의학으로 불리는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의지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