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수차례 테스트 거쳐 안전성 입증

4일 정보전략팀 박철우 팀장은 “병원내 휴대폰 사용이 의료기기의 오작동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삼성서울병원은 이미 수차례의 테스트를 거쳐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한 상태”라며 “환자에게 피해를 줄 여지가 있었다면 아예 개통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 팀장은 “011, 016 등 여러 통신업체들의 회선을 스마트폰에 적용해 1년간 의료기기와의 전파간섭현상에 대해 테스트 한 결과 심각한 오작동을 일으킨 사례가 없는 016를 택했다”며 “특히 칩이 내장된 780종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시험해 안정성을 재차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에서 기기오작동의 위험도인 1-6까지 단계 중 무선단말기를 의료기기에 근접해 갖다댔을 경우에도 미세한 화면의 흐림 정도만 나타나는(2단계) 등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테스트 기간 중 016 PCS 전파에 영향을 받는 일부 장비(혈액검사기)가 나오기는 했으나 병원은 시스템 개통 전 PCS 전파 차폐 장치를 마련해, 실질적으로 기기오작동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막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박 팀장은 신규로 들여오는 의료기기의 경우 해당 PCS 주파수와 간섭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앞으로는 의료기기 도입 전에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 병원 모바일 시스템 운영에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한편 박철우 팀장은 “의료기기 오작동 우려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 역시 문의를 해왔지만 안정성에서 만큼은 정확한 데이터를 통해 증명해 보일 수 있다”고 강조하고, “국내 병원 최초로 PDA를 넘어 영상과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스마트폰 시스템을 도입한 만큼 빠른 시일 안에 의료진의 편리성과 더불어 안정성에도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자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