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주 회장, 정신과만 표기시 조기치료 저해

정신과개원협의회 이성주 회장은 7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인터뷰를 통해 최근 학회는 복지부와 진료과목에 대한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며 최후 결론이 도출될 때까지 현 진료과목 표기를 유지해야 최소 비용 등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최근 수련병원들의 신경정신과 진료과목 간판을 정신과로 고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토로하며 최근 학회에서도 이에 대한 의견을 복지부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이 회장은 이어 정신과를 진료과목으로 표기했을 때 정신질환자 조기 치료 저해 등의 문제점을 설명했다.
"현실적으로 '정신과'는 정신병자, 즉 미친 사람이 가는 곳이라는 사회적 오해와 편견이 만연해, 정신질환(특히 우울증)의 급격한 증가와 자살률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정신과병의원에의 접근성 및 조기 치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 회장은 "'정신과'와는 반대로 '신경과'는 신경성질환(신경증, 노이로제)을 치료하는 곳으로 오해해 정신과를 가야할 정신질환자들이 신경과를 찾고 있는 게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런 오해로 인해 정신질환자들이 신경과에서 비효율적 치료를 받게 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신경과와 정신과의 학문영역 차별성을 알려야 한다는 게 이 회장의 주장.
이와 함께 "진료과목 명칭의 혼란으로 인해 정신질환자가 신경과에 많이 가고 있다"며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해 각과의 다빈도 진료상병명 통계를 확인하자"고 이 회장은 제안했다.
이 회장은 "신경과에서 진정으로 신경질환만을 주도적, 효율적으로 진료하고 싶다면 타과의 명칭을 문제 삼을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진료과목에 맞게 환자를 의뢰하지도 않을 뿐더러 이에 대한 대국민 교육 및 홍보도 하지 않은 채 과명을 문제로 삼는 것에 대한 진의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학회에서도 이같은 문제점들을 염두해 두고 정신과 개명을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신경정신의학회에서는 최근 과명칭변경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이에 관해 공청회도 실시한 바 있다. 또한 복지부에 관련 법률안을 개정해달라며 진료과목에 대한 의견을 제출했다.#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