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청기협회로부터 항의 받았던 최석주 원장

최석주 원장(초이스 이비인후과)은 13일 메디칼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지난 12일 한국보청기협회가 난입하는 소동을 설명하며 "이비인후과에서 보청기를 판매하는 것은 2002년 9월 보건복지부 판결에 의해 법적으로도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최 원장은 "보청기협회내 회원들의 생계가 어려우니 이비인후과에서 보청기를 판매하지 말라는 것은 이비인후과 전문의한테 귀 진료를 포기하라는 것과 같은 억지주장"이라고 꼬집었다.
거슬러 올라가면 최 원장이 보청기협회로부터 시위당한 건 보청기를 처방하고 판매한 것이 발단.
그러나 최 원장은 다른 의원과는 달리 청각사를 고용해 보건소로부터 보청기판매업소로 허가 받아 운영하고 있다.
#i3#최 원장은 "이비인후과에서 난청의 진단 및 청력검사를 받은 후 이를 토대로 전문의가 직접 보청기 기종을 선택해 주고 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해주기 위해 이같이 운영한다"고 말했다.
그는 "보청기를 안경처럼 생각하면 안된다"며 "안 들리면 그 원인을 찾아 이를 약물로 치료할 것인지, 수술요법으로 치료할 것인지, 아니면 보청기를 착용할 것인지 등 이비인후과 전문의로부터 진단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간혹 환자 중에는 보청기 구입한 후 보장구 처방전 및 검수확인서를 받으러 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순서상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 원장은 "진단 없이 보청기를 먼저 착용했을 경우 약물이나 수술로 충분히 치료할 수 있는 기회를 놓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보청기협회의 시위와 관련 최 원장은 "이런 일들이 이비인후과 개원가를 대상으로 계속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위해 이비인후과학회와 개원의협의회가 대응방안을 마련해 줄 것을 건의했다"고 말했다.
또한 "이비인후과 전문의들이 보청기를 처방하고 판매하는 정당성 근거를 학회 차원에서 홍보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2002년 9월 유권해석을 통해 “지난 93년 헌법재판소에서 ‘안과의사가 환자에게 콘택트렌즈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이런 범위내의 콘택트렌즈 판매행위는 진료행위에 포함된다’고 판시된 바 있다”며 “이에 비추어볼 때 이비인후과 의사가 진료과정에서 보청기를 판매하는 것은 적법하다”고 밝혀 보청기 판매업자들이 강하게 반발 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