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설 지방의대 만성적 인력난 '교수가 없다'

발행날짜: 2006-01-18 12:00:48
  • 30여개 교과과목 전임교수 턱없이 부족...지원 기피 심각

[메디칼타임즈=이인복 기자] 최근 제주의대가 교수 미충원으로 공보의가 실습수업을 담당한 것과 관련, 강원의대, 서남의대 등 신설지방의대들도 인력난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의대들은 교수가 턱없이 부족해 시간강사들이 대부분의 강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시간강사마저 부족한 교과과목에 대해서는 시간강사를 초빙해 오는 식으로 인력난을 해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의대는 지금까지 계속해서 교수를 충원하려는 노력을 해봤지만 좀처럼 실마리가 보이지 않는 다고 설명한다.

강원의대 관계자는 "계속되는 인원확충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력난은 그리 나아지지 않고 있다"며 "신설의대인데다가 지방에 있어 지리적 요인이 좋지 않은 만큼 좀체 오려고 하질 않는다"고 말했다.

의과대학학장협의회가 발간한 '2004-2005 의과대학교육현황' 자료에 따르면 강원의대의 경우 전임교수가 있는 과목은 기초와 임상과목 34과목중 단 4과목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대부분의 과목들이 전임교원보다 많게는 4배이상 비전임 시간강사가 채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이 자료는 지난해 1월 발간된 것이어서 현 시점이라고 보긴 어렵지만 열악한 교육환경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강원의대측은 "인근 한림대와 비교해 교수수가 50%에 채 미치지 못해 많은 강의를 시간강사들이 강의하고 있다"며 "그나마 수도권에서 가까운 강원도니 이정도로 버텨갈 수 있지만 타 지방 신설의대들은 더 심각한 상황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강원의대는 최근 총 11명의 교수를 모집한다는 공고를 냈지만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 지금까지 채워지지 않은 인원이 갑자기 채워질수 있겠냐는 것이 강원의대 관계자의 푸념이다.

제주의대의 경우 상황은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의과대학교육현황 자료에 따르면 제주의대의 기초와 임상과목을 포함한 34개 과목중 전임교수가 있는 과목은 단 3개에 불과했으며 산부인과, 피부과, 신경외과, 비뇨기과, 이비인후과, 마취과, 재활의학과, 기생충학과, 법의학과 의료관리학과, 의공학과는 전임교원이 단 한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 제주의대 관계자는 "서울의대 등 국립의대에서 외래교수들이 강의를 돕고 있어 강의에 큰 차질은 없다"며 "계속해서 충원노력을 하고 있는 만큼 시간이 지나면 정상화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제주의대는 심각한 인력난으로 최근 공중보건의가 실습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난바 있다.

신설의대인 서남의대도 사정은 마찬가지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남의대측은 구체적 수치 공개를 극도로 꺼리고 있지만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고 토로했다.

서남의대 관계자는 "아직 졸업생수나 동문수가 그리 많지 않아 인력충원에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자리가 잡혀가면 상황은 나아질 것으로 본다"고 의견을 내놨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들 의대들의 경우 대부분의 강의를 시간강사가 대체하고 있고 시간강사마저 모자라 서울의대 등 국립의대 전임의들이 초빙강사식으로 강의를 하고 있어 자칫 부실교육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고대의대의 한 교수는 "의과대학의 특성상 교육의 중요성은 두말할 것이 없을 것"이라며 "경륜이 풍부한 교수진의 부재는 향후 의과대학의 미래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줄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인력난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의대교육평가로 인한 불이익이 가해질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한 위원은 "평가항목 및 평점은 철저한 비공개이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말할수는 없지만 교원부족 등의 이유로 의대인정평가에서 인정받지 못한 것으로 안다"며 "향후 인정평가까지도 인력을 충원하지 못한다면 의대평가에서 또 한번 인정받지 못하는 결과로 의대 자체가 도태될 수도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병·의원 기사

댓글 4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학생 2006.01.20 23:38:20

    마음이 아파서
    이런 논쟁이 되는 기사.
    마음이 아픕니다.

  • 이홍섭 2006.01.18 20:39:10

    지방 공공의료도 살립시다
    서울서 제주대로 내려온지 3년입니다. 3년동안 교수 수가 늘어 30 여명서 65 명 까지 늘었습니다. 그나마 국립의대 간판이라도 있으니 육지서 상대적인 박봉에도 내려오지 의대라도 없으면 누가 내려 오겠습니까. 제발 잘되게 지원해 주시고 깍아내리지는 말아 주십시요...

  • 제주대교수 2006.01.18 16:15:36

    명백한 오류기사군요.
    어처구니가 없어 일일이 쓰고 싶지도 않습니다.

    자료를 분석하는 능력이 부족하신 것 같은데 그래서 소설을 쓰시나 봅니다.

    하나만 지적하자면 34개 과목중 전임교수가 있는 과목은 3이라고 하더니만 그 다음 줄엔 11개 과목을 들먹이면서 한 명뿐이라고 써 놓았네요. 점입가경인 것은 뒤에 늘어 놓은 4개 과목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한 명 또는 아예 없는 과목이죠.

    변병을 하나 하자면 제주도라는 특성과 국립대학이라는 특성 때문에 임상교수를 하다가 전임교수가 되는 분이 많습니다.

  • 강원의대교수 2006.01.18 15:32:59

    제대로 알고 쓰시지
    교수수가 부족한 것은 사실이지만 국립대라서 교육부에서 T/O를 안줘서 그렇지 오고 싶어 하는 사람 많다. 안과, 피부과, 성형외과 다 있다. 이번 11명 모집에 기대를 안하다니 너무 적게 뽑아준다고 의대교수들이 불만이 많은데..
    이인복 기자님 강원의대 관계자가 누구요?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