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 OECD 헬스 데이터 2006 분석

14일 공단 건강보험연구센터의 'OECD 헬스 데이터 2006'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991년부터 2004년까지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증가율은 4.53%로, OECD 국가들(연 평균 2.15%)에 비해 2배에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여전히 최하위권에 속하는 수준.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1.6명으로 25개 OECD 국가 중 멕시코와 함께 최하위를 기록했다. 우리나라와 더불어 일본(2명), 캐나다(2.1명), 영국(2.3명), 미국(2.4명) 등도 OECD 평균인 3.1명에 크게 못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그리스(4.9명)였으며, 이탈리아(4.2명), 벨기에(4명), 스위스(3.8명), 아이슬란드 및 네덜란드(3.6명) 등이었다.
아울러 인구 1000명당 간호사 수에서도 가장 적은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간호사 수는 1.8명으로 OECD 평균(8.9명)의 1/5수준에 그쳤다.
간호인력이 풍부한 곳은 아일랜드(15명), 노르웨이(14.9명), 네덜란드(14.2명) 등이었으며, 우리나라(1.8명), 멕시코(2.2명), 포루투갈(4.4명) 등은 평균에 못미치는 수치를 나타냈다.
한편 CT, MRI 등 물적자원 보유율은 타 국가들에 비해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04년 현재 한국 인구 백만 명당 CT 수는 31.5대로, OECD 평균(15.4)의 2배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MRI 수 또한 11대로 평균(8.0대)보다 많았다.
우리나라 인구 백만명당 CT 수는 1993년 12.2대에서 2004년 31.5대로, MRI 수는 1993년 1.8대에서 2004년 11대로 급속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