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병원 송명근교수, '링'과 '띠' 이용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송명근 교수는 ‘링’과 ‘띠’를 이용해 심장 판막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수술법을 개발해 대동맥 판막 기능 환자 74명을 대상으로 시술한 결과 98%이상의 성공을 거뒀다고 17일 밝혔다.
송 교수에 따르면 뇌사자나 돼지의 판막을 이용하는 기존 수술법은 수술 후에 평생 혈액항응고제 등을 복용해야 하고, 인조 판막 수술법은 혈전이 발생하고 재발이 잘되는 단점이 있다.
송 교수는 98년부터 심장 판막을 연구한 결과 대동맥 판막의 열림과 닫힘을 담당하는 근육이 특정위치에 분포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송 교수는 ‘링’과 ‘띠’로 움직이지 말아야 할 부분을 고정시키고, 늘어진 혈관을 잡아주어 개폐가 불안정한 판막이 정상적인 기능을 발휘하도록 했다.
이 수술에 이용한 ‘링’과 ‘띠’는 테프론과 다크론이라는 특수재질로 만들어 합병증과 부작용을 방지하였고 현재는 식약청의 최종 허가 절차와 미국 특허 출원 중이다.
송 교수는 “이번 대동맥 판막 성형술의 개발로 삶의 연명이 어려운 심장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게 됐다”며 “대동맥 판막 폐쇄증 발병의 새로운 이론을 정립했다는 것이 이 수술의 의의”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