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조사.."정부, 적극적 지원 필요"
국제 임상시험을 유치하기 위한 대형병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울대병원 등 국내 대다수 대형병원들의 임상시험 인프라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부족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과기부 지정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전국 의료기관과 제약기업 등 임상기관 97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국내 비임상, 임상 인프라에 대한 현시점과 신규 수요 파악을 위한 설문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대형병원 중 임상약리학자 등 임상시험 전문가를 3명이상 보유한 병원은 전체의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 병원 등 국내 주요 대형병원 9개기관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관의 임상시험 관련 인프라는 전임강사 이상 교원이 평균 230여명을 조사됐으며 보건기사 등 임상시험 관련인력은 평균 20명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전일제로 근무중인 임상시험 관련자 177명 중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연구 간호사)는 79명에 달하는 반면 임상시험의 실질적 주요업무를 담당하는 임상약리학자와 역학 및 통계학자는 40명 선에도 미치지 못해 인력 편중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IRB의 임상시험 심의 건수의 편중 현상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2001년부터 IRB 임상시험 심의건수를 집계한 결과 연도별로 건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해 연평균 성장률이 38.5%에 달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중 대다수는 국내임상시험으로, 2004년 기준 국내 임상시험 건수는 303건에 달했지만 다국적 임상시험 건수는 128건으로 절반에 불과했다.
국내 대다수 제약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18개 주요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제약사 중 임상시험을 전담하는 부서가 없는 제약사도 3곳이나 있었으며 임상시험의 사전단계인 전임상시험 전담부서가 없는 곳도 4곳에 달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세계 생명공학 시장규모에서 의약분야의 총수익 규모가 약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선진국과 선진기업들의 경우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을 위해서는 더이상 지체해서는 안된다는 것.
생명공학정책센터 관계자는 "비임상시험뿐 아니라 임상시험에 대해서도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등 국가적 지원방안의 확대와 지원이 절실하다"며 "개발 가능 신약에 대한 철저한 사전평가로 연구비 지원의 선택과 집중에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보건복지부가 추진중인 지역임상시험센터를 확대하는 것도 필수적이라는 의견이다.
센터 관계자는 "잠재력 있는 의료기관에 국제적 임상시험센터를 건립하는데 정부가 힘을 보태야 한다"며 "수행능력을 감안해 지역임상시험센터를 확대하고 임상시험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홍보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과기부 지정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전국 의료기관과 제약기업 등 임상기관 97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국내 비임상, 임상 인프라에 대한 현시점과 신규 수요 파악을 위한 설문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대형병원 중 임상약리학자 등 임상시험 전문가를 3명이상 보유한 병원은 전체의 3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 병원 등 국내 주요 대형병원 9개기관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관의 임상시험 관련 인프라는 전임강사 이상 교원이 평균 230여명을 조사됐으며 보건기사 등 임상시험 관련인력은 평균 20명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전일제로 근무중인 임상시험 관련자 177명 중 임상시험 코디네이터(연구 간호사)는 79명에 달하는 반면 임상시험의 실질적 주요업무를 담당하는 임상약리학자와 역학 및 통계학자는 40명 선에도 미치지 못해 인력 편중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IRB의 임상시험 심의 건수의 편중 현상도 문제점으로 제기됐다.
2001년부터 IRB 임상시험 심의건수를 집계한 결과 연도별로 건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해 연평균 성장률이 38.5%에 달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중 대다수는 국내임상시험으로, 2004년 기준 국내 임상시험 건수는 303건에 달했지만 다국적 임상시험 건수는 128건으로 절반에 불과했다.
국내 대다수 제약사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인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18개 주요 제약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제약사 중 임상시험을 전담하는 부서가 없는 제약사도 3곳이나 있었으며 임상시험의 사전단계인 전임상시험 전담부서가 없는 곳도 4곳에 달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이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세계 생명공학 시장규모에서 의약분야의 총수익 규모가 약 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선진국과 선진기업들의 경우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적극적인 투자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임상시험의 발전을 위해서는 더이상 지체해서는 안된다는 것.
생명공학정책센터 관계자는 "비임상시험뿐 아니라 임상시험에 대해서도 정부 예산을 투입하는 등 국가적 지원방안의 확대와 지원이 절실하다"며 "개발 가능 신약에 대한 철저한 사전평가로 연구비 지원의 선택과 집중에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 임상시험 활성화를 위해 보건복지부가 추진중인 지역임상시험센터를 확대하는 것도 필수적이라는 의견이다.
센터 관계자는 "잠재력 있는 의료기관에 국제적 임상시험센터를 건립하는데 정부가 힘을 보태야 한다"며 "수행능력을 감안해 지역임상시험센터를 확대하고 임상시험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홍보하는 등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