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박샛별 교수, 폐경여성 9579명 추적조사
단기간의 여성 호르몬대체 요법이 유방암 발생과 무관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샛별 교수는 14일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6년간 호르몬대체요법을 실시한 결과 유방암 발생 위험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98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을 내원한 40세 이상 여성 중 갱년기 장애가 있는 9579명(여성호르몬제제 복용 6108명, 비복용 3471명)을 대상으로 유방암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체질량 지수, 음주와 흡연 여부 등을 토대로 유방암 발생여부를 조사했다.
추적 분석결과, 호르몬제제를 투여한 집단 6108명 중 유방암이 발생한 경우가 26명, 투여하지 않은 집단 3471명 중 유방암이 발생한 경우가 1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년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호르몬제제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험이 1.68배 높아지고, 대조군이 유방암에 걸리지 않을 확률은 투여군에 비해 29.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샛별 교수는 “우리나라는 폐경기 여성 5명 중 1명이 호르몬대체요법을 받고 있으나 아직까지 유방암 위험성을 연구한 적은 없다"며 "5년 이상 장기간 호르몬대체요법으로 치료하는 경우 유방암이나 심혈관계질환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저용량을 단기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아주대병원 가정의학과 박샛별 교수는 14일 "갱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6년간 호르몬대체요법을 실시한 결과 유방암 발생 위험도가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98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아주대학교병원을 내원한 40세 이상 여성 중 갱년기 장애가 있는 9579명(여성호르몬제제 복용 6108명, 비복용 3471명)을 대상으로 유방암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체질량 지수, 음주와 흡연 여부 등을 토대로 유방암 발생여부를 조사했다.
추적 분석결과, 호르몬제제를 투여한 집단 6108명 중 유방암이 발생한 경우가 26명, 투여하지 않은 집단 3471명 중 유방암이 발생한 경우가 13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년 이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호르몬제제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험이 1.68배 높아지고, 대조군이 유방암에 걸리지 않을 확률은 투여군에 비해 29.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샛별 교수는 “우리나라는 폐경기 여성 5명 중 1명이 호르몬대체요법을 받고 있으나 아직까지 유방암 위험성을 연구한 적은 없다"며 "5년 이상 장기간 호르몬대체요법으로 치료하는 경우 유방암이나 심혈관계질환 등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저용량을 단기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