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경실련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 토론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25일 경실련 강당에서 '일반의약품 약국 외 판매'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토론자들은 약국의 접근성, 약물 부작용 및 오·남용 우려 등 쟁점을 놓고 첨예하게 대립했다.
먼저 주제발표를 맡은 강원의대 정승준(생리학) 교수는 "국민편의 증진의 측면에서 의약품 재분류작업을 통해 안정성과 유효성이 보장된 부분에 한해 OTC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약물 부작용 및 오남용 우려에 대해서도 "전문가의 평가에 따라 대상의약품을 선정해 나가야 할 것"이라면서 "약물 부작용은 국민들이 편의에 의해 일반의약품도 아닌 효능이 잘 알려지지 않은 약물을 사용할 때 오히려 더욱 커진다"고 지적했다.
한국체인스토어협회 안승용 부회장도 일반약 슈퍼판매 허용을 강도높게 주장했다. 그는 "OTC 도입 및 제도개선에서 가장 고려해야 할 것은 소비자"라고 강조하면서 "현행제도는 소비자의 욕구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 제도는 사실상 의약품의 약국 독점판매를 허용하고 있어, 다른 재화나 서비스와는 달리 소비자들이 최적의 가격,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없는 환경에 처해 있다는 것.
안 부회장은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으로 단순의약품을 구매하고 있다"면서 "이제 이 같은 반복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한 가지라도 실행에 옮겨야 할 때"라고 말했다.
"국내 1약국당 인구수 미국, 유럽 절반수준 불과"

우리나라의 1약국당 인구는 2400명으로 미국(6000명), 유럽국가 평균(5100명)의 1/2에 불과하다는 것이 박 이사의 설명.
그는 "공휴일이나 야간에 의약품을 구매하기가 불편하다는 것이 명분이지만, 과연 우리나라의 약국 접근성이 슈퍼판매를 거론할 정도로 떨어지고 있는 가는 다시 한번 생각해보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박 이사는 "의약품은 공산품과 달리 전문가에 의해 투여되지 않을 경우 부작용과 오남용이 초래할 수 있으며 약화사고가 발생해도 책임소재가 분명하지 않아 보상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날 것"이라면서 "위해의약품 관리 또한 현재와 같이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 "슈퍼판매 허용보다는 의약외품 전환 확대"

복지부 의약품 정책팀 오창현 사무관은 "일반인의 의약품 소비관행 및 국내외적 여건을 감안할 때 의약품 오남용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상존해 있는 상황"이라면서 "일반의약품의 약국 외 대중판매가 이루어질 경우 사회적 편익보다는 우해가 더 크게 나타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 사무관은 "국민편의를 고려함과 동시에 무엇보다도 의약품의 오남용 및 오투약으로부터 소비자 안전대책을 담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약국 외 판매허용 보다는 그간 추진해온 바와 같이 부작용과 안전성 등 문제가 적은 일반약을 단계적으로 의약외품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지속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