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등 제약·의사 유착관계 집중보도…“약가, 리베이트 거품”

25일 제약사의 불공정거래행위를 보도한 일간지와 방송사 상당수가 공정거래위원회 발표에 근거한 현실적 보도를 보였으나 KBS와 연합뉴스 등 일부 언론은 제약사와 의사의 유착관계에 초점을 맞춘 집중보도 형태를 취했다.
이날 공정위 소식을 빠르게 전달한 연합뉴스는 공정위가 배포한 보도참고자료를 중심으로 개별취재로 확보한 한 제약사의 최근 4년간 위법행위인 상품권과 현금 및 PMS(시판후조사) 등에 소요된 수 백 억 원대의 액수를 보도했다.
연합뉴스는 이어 “이들 업체가 R&D를 통한 경쟁력 제고는 등한시한 채 로비에 의존해 높은 약값을 통해 결국 소비자에게 로비비용을 전가한 것이 아니냐는 비난이 고조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공정위는 제약사 조사 후 리베이트를 수수한 대형 병원들에 대한 조사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며 공정위 화살이 제약사에 이어 의료계로 향할 수 있음을 예고했다.
이같은 연합뉴스의 보도는 일간지 홈페이지와 방송을 통해 그대로 전파되는 양상을 보였다.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등은 해당 신문사의 홈페이지에 연합뉴스 기사만 게재했을 뿐 독자적인 내용은 다루지 않았다.
가장 눈길을 끈 매체는 KBS로 ‘9시 뉴스’의 톱기사로 ‘10개 제약사, 리베이트 수천억’ 제목의 보도를 통해 제약계와 의료계를 향한 맹공을 퍼부었다.
지난달 H사 영업사원 인터뷰를 근거로 ‘PMS=리베이트’ 식으로 보도한 KBS는 이날 방송에서도 제약사의 전·현직 영업사원과 시민단체, 공정위 관계자의 잇따른 인터뷰를 보도에 삽입하여 제약사의 리베이트는 고질적인 병폐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KBS는 또한 병원장 가족의 해외여행부터 원장 사모님 시장대행 등 리베이트 제공수법에 이어 의사에 대한 리베이트 전달방식과 액수, 기대효과 등이 적힌 한 제약사의 영업사원 교육지침서에 근거한 내용을 연이어 보도했다.
이와 관련 제약사 한 관계자는 “공정위 발표가 연기됐으나 언론에서 들끊고 있어 파장이 오히려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고 “좀 더 반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앞으로 어떤식으로 전개될지 모르겠다”며 향후 언론의 보도방향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10개사 중 주요 상장업체인 동아제약(-400원)과 중외제약(-1800원) 등이 25일 마감된 주식시장에서 약간의 내림새를 보였을 뿐 한미약품(+1000원), 유한양행(+1500원), 녹십자(+2400원) 등은 상승세를 지속해 공정위 여파가 아직까지 증시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