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장성 강화 혼란…의원 급여비 매출 직격탄

고신정
발행날짜: 2007-11-24 08:17:18
  • 심평원, 급여 증가율 한자릿수 그쳐…병원급은 폭증

[메디칼타임즈=] 6세미만 소아입원료 면제·식대급여화 등 정부 보장성 강화정책의 영향으로 환자들의 의료이용 패턴이 달라지면서, 요양기관종별 급여비 매출액에도 큰 변화가 나타났다.

의원급 급여비 매출액 증가율은 다시 한자릿수로 곤두박질친데 반해, 병원급 매출은 폭증한 것.

23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07년 3/4분기 통계지표'에 따르면 9월말 현재 의원급 의료기관의 급여비 매출액은 전년대비 7.04%가 증가한 5조8823억원으로 집계됐다.

앞서 의원 급여비 매출 증가액은 지난 2005년 3분기 7.96%에서 지난해 12.22%로 크게 늘어 경기회복의 기대감을 갖게 했었다. 그러나 이도 잠시, 올해 다시 증가율이 둔화되면서 2005년 수준에도 못미치는 수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올 3분기 현재 의원 1곳당 진료 매출액도 2억2379만원으로 전년비 5.7% 늘어나는데 그쳤다.

반면 병원은 9월 현재 전년 동기대비 34.8%(요양병원 116.03%)의 증가율을 기록, 매출액 총액이 2조원선을 넘긴 것으로 집계됐다.

기관당 진료비 또한 7.21%가 늘어, 병원 한 곳당 평균 14억여원의 매출을 보였다.

병원, 입원환자 이용량 크게 늘어…급여비 매출증가에 영향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데는 정부 보장성 강화 정책의 영향이 컸다. 6세미만 소아입원료 면제, 식대급여화 등의 영향으로 경증환자의 입원진료 및 병원 이용률이 크게 증가한 것.

실제 심평원에 따르면 올 3분기 의료이용량(입원일수 및 외래 방문일수)을 분석한 결과, 의원 외래환자는 전년 동기대비 0.37% 늘어나는데 그친데 반해 입원환자는 14.42%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병원의 외래환자는 9.58%, 입원환자는 무려 33.4%가 증가해, 의원급과 비교해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결국 병·의원 급여매출 증가액 중 상당수는 이로 인해 늘어난 식대급여에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심평원 관계자는 "2006년 6월부터 시행된 입원 식대 보험적용과 입원의 의료이용량 큰 폭 상승이 총진료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보장성 강화 정책, 환자 의료이용 패턴 왜곡

환자의 의료이용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는 또 있다. 올 들어 감기 등 경증환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데 반해 폐렴 환자가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

심평원 자료에 의하면 올해 3분기 현재 급성상기도감염으로 의료기관을 찾은 환자는 지난해에 비해 무려 3.8%가 줄어든 반면, 폐렴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7.21%가 증가했다.

이는 상당수 감기환자가 보장성 강화정책이라는 유인요인으로 인해, 외래 대신 입원을 택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특정 상병이 갑자기 크게 줄어드는 일은 없다"면서 "감기환자가 줄었다기 보다는 다른상병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해석하는 편이 타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와 관련 복지부는 지난 21일 건강정책결정심의원회에서 식대급여 본인부담금을 현행 20%에서 50% 수준으로 상향조정하고, 소아입원료에 10%의 본인부담을 부과하는 조정안을 의결한 바 있다.

정책 기사

댓글 6

댓글운영규칙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 윤철수 2007.11.26 11:21:34

    감사원에 감사청구감이군요.
    "결국 병·의원 급여매출 증가액 중 상당수는 이로 인해 늘어난 식대급여에서 기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심평원 관계자는 "2006년 6월부터 시행된 입원 식대 보험적용과 입원의 의료이용량 큰 폭 상승이 총진료비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라고 하는데,
    이런 일이 벌어질지 모른 사람들은 보건복지부와 공단, 심평원, 그리고, 경실련 등의 시민단체들 뿐이다.

    그런 무능한 그들이 의료현장에 대해 아는 바 없으면서, 의사들을 매도하며 의료행정을 하고 있기에 벌어지는 일일 뿐이다.

    의사들이 왜 식대 보험급여가 시기상조라며 반대하였는지 느꼈다면
    엉터리 정책을 시행하여 국민들에게 어마어마한 금전적 피해를 입힌 정책입안자들에 대해 문책을 하고 경실련에 대해서도 보건복지부는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본다.

    "환자의 의료이용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는 또 있다. 올 들어 감기 등 경증환자가 큰 폭으로 줄어든데 반해 폐렴 환자가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
    이라고 하는데,,
    이는 감기 심사지침의 강화에 따른 것이 주원인이다.


  • 미친년 2007.11.26 10:14:29

    등신들이 지랄하면 바른 정책나온다 ?ㅋㅋㅋ
    말될까?? 머리에 든게없는데 좋은정책이나오겟으??

  • fc 2007.11.25 20:07:50

    약품제조 배우는 약대교과과정
    <<서울대학 약대 교육과정입니다>>
    1
    370.202* 약학개론 2 2
    2 370.212 扇戮캣건?및 실습 2 2(2)
    371.208* 물리약학 1 3 3
    371.214 약학사 2 2
    371.216 약학컴퓨터개론 2 2
    375.201* 약화학 1 2 3
    375.203* 약화학실험 1 (4)
    375.205* 약품분석학 1 2 3
    375.207* 약품분석학실험 1 (4)
    375.213 본초학 및 실습 2 1(2)
    375.218 기능성식품학 2 2
    801.002* 해부학 2 3
    371.209* 물리약학 2 2 3
    371.210* 물리약학실험 1 (4)
    371.212A 나노약물전달체개론 2 2
    371.215 생명약학 2 2
    375.202* 약화학 2 3 3
    375.206* 약품분석학 2 3 3
    375.214 천연물화학 및 실습 2 1(2)
    375.217 약용식물배양법 2 2
    375.220 약품방사성화학 2 2
    801.001* 생리학 3 3


    3 370.301* 생화학 1 2 3
    370.303* 생화학실험 1 (4)
    370.304 종양학 2 2
    371.310 기기분석 3 3
    371.322 유기의약품합성화학1 2 2
    375.301* 생약학 1 2 3
    375.309* 약학미생물학 1 3 3
    375.318* 의약품합성화학 1 3 3
    375.321* 생약학실험 1 (4)
    375.322A* 위생약학 1 3 3
    370.302* 생화학 2 3 3
    371.217 해양천연물약품학 및 실습 2 1(2)
    371.313 환경위생학 2 2
    371.323 유기약품합성화학 2 2 2
    375.221 약학세포유전학 3 3
    375.302* 생약학 2 3 3
    375.310* 약학미생물학 2 2 3
    375.311* 약학미생물학실험 1 (4)
    375.313 약품시험법 2 2
    375.316 식품위생학 2 2
    375.317 법약학 2 2
    375.319* 의약품합성화학 2 2 3
    375.320* 의약품합성화학실험 1 (4)
    375.323A* 위생약학 2 2 3
    375.324A* 위생약학실험 1 (4)


    4 371.408 제약공장관리 2 2
    371.412 제제시험법 2 2
    371.413 향장품화학 2 2
    375.401* 약물학 1 2 3
    375.405* 약제학 1 2 3
    375.407* 약제학실험 1 (4)
    375.409* 병원약국학 1 2
    375.413 내분비화학 2 2
    375.417 약국관리학 2 2
    375.418 항생물질학 2 2
    375.420 생물학적시험법 2 2
    375.424* 약물학실험 1 (4)
    375.425* 임상약학및실습1 3 2(3)
    375.427 의약분자생물학 2 2
    801.003* 병리학 3 3
    371.409 생물학적제제 2 2
    371.410 의약품정보과학 2 2
    371.414 농약학 2 2
    371.415 식품공학개론 2 2
    375.402* 약물학 2 3 3
    375.406* 약제학 2 3 3
    375.410* 병원약국학실습 1 (8)
    375.411* 약사위생법규 1 2
    375.412 약전개론 2 2
    375.414 신약학 2 2
    375.419 조제학 2 2
    375.422 독성학 2 2
    375.426* 임상약학및실습2 3 2
    약사국가고시를 알아봅시다. 정성분석,정량분석,무기약품제조학,유기약품제조학,생약학,생화학,미생물학,위생화학,약제학, 약물학,대한약전,마약류에 관한 법령을 배웁니다.약품제조국가고시입니다


    댓글 개수
    한줄댓글 1개

  • 모를 수밖에 2007.11.25 10:28:59

    폐렴이냐 감기냐.. 그것이 문제지.
    의원에서 폐렴이라고 하면 다 종합병원가니 그냥 감기 심하게 걸렸다고 하겠지.. 종병오면 감기왜왔냐고 못하니까 그냥 폐렴이라고 하는거지..
    환자가 병원을 선택하는 현 보험정책에선 환자입맛에 맞는 소리 할 수밖에..

  • 허참 2007.11.24 11:49:44

    통 말이 안돼..
    기사 내용에 "이는 상당수 감기환자가 보장성 강화정책이라는 유인요인으로 인해, 외래 대신 입원을 택한 결과"라고 분석했ㄴㅁ느데. 이거이 말이 된다고 생각하라. 어떤 미친 사람이 감기 외래진료비 때문에 폐렴이 될 때까지병을 키우나..

  • 글씨..? 2007.11.24 10:20:43

    물론 입원을 선호하게 된 것도 있으나..
    내가 보호자라고 해도 돈한푼 안내고 사보험 가입시 보험료도 받을 수 있는 입원을 하겠다.
    그건 나쁜게 아니라 당연한 재테크이다.

    하지만, 최근들어 합병증이 적은 감기는 병의원을 찾지 않고 심각한 상태가 되어 오는 환자가 늘어난 것은 사실이다.

    그게바로 의약분업에 경제 침체까지 겹친 정부가 바라던 효과 아니었던가?

약관을 동의해주세요.
닫기
댓글운영규칙
댓글은 로그인 후 댓글을 남기실 수 있으며 전체 아이디가 노출되지 않습니다.
ex) medi****** 아이디 앞 네자리 표기 이외 * 처리
댓글 삭제기준 다음의 경우 사전 통보없이 삭제하고 아이디 이용정지 또는 영구 가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1. 저작권・인격권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경우
2. 상용프로그램의 등록과 게재, 배포를 안내하는 게시물
3. 타인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및 기타 권리를 침해한 내용을 담은 게시물
4. 욕설 및 비방, 음란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