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계, 평가결과 공개 불만 팽배…"정부가 해준 게 뭐냐"
전국 86개 대형병원을 대상으로 시행된 2007년도 의료기관평가 결과가 공개되자 병원계에서 불만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간 의료서비스와 임상질 등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았지만 남는 게 아무 것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일부 평가지표의 경우 현실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모 대학병원 교수는 23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의료기관평가 후 병원에 돌아온 게 뭐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의료기관평가를 받기 위해 병원의 전직원들이 1년여간 시설을 개선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고생했는데 복지부는 평가결과를 공개한 것 외에 병원에 해 준 건 아무 것도 없다”면서 “도대체 누구를 위해 이런 평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또다른 대학병원 교수도 이와 비슷한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의료기관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지 않을 수 없는 게 현실인데 우수평가를 받았다고 해서 복지부로부터 인센티브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소모적인 순위경쟁만 초래하고 있다”고 못 박았다.
제2기 의료기관평가부터 도입된 임상질지표 평가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임상질지표 평가 결과 폐렴 부문은 4개 지표를 종합한 평균점수가 94.6점이었고, 90점 이상(A)을 충족한 병원이 83개 병원 중 69개(83.1%)에 달했다.
중환자 부문 역시 시범지표 2개를 제외한 3개 지표의 평균점수가 98.6점으로 나왔고, 90점 이상 충족한 병원이 84개 중 80개(95.2%)로 매우 높았다.
반면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 부문은 시범지표인 수술 완료후 예방적 항생제 투여중단 시간을 제외한 2개 지표의 평균점수가 79.7점, 90점 이상 충족한 병원이 조사대상 75개 병원 가운데 19개(25.3%)에 불과했다.
특히 ‘피해야 할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 미사용 비율’은 평균 66.5%에 지나지 않았고, 조사대상 75개 병원 중 90% 이상을 충족한 병원이 11개(14.7%)인 것으로 집계돼 의료기관의 현실과 상당한 괴리를 드러냈다.
실제 A병원은 피해야 할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것 때문에 B등급으로 떨어져 임상질지표 평가에서 전부문 A등급을 놓치자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은 경제적 손실 외에도 부작용, 내성균 출현 등을 야기하고, 애초에 기대했던 수술 감염 예방 효과도 얻지 못한다는 게 복지부의 입장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아직 의학계에서 예방적 항생제 진료지침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지부가 획일적 잣대를 적용하는 것은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 병원 관계자는 “우리 병원으로 전원해 올 당시 항생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돼 수술후 임상의사의 판단에 따라 불가피하게 좀 더 강한 것을 투여한 것인데 이를 피해야 할 항생제로 규정해 점수를 깎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질타했다.
그는 “의료기관평가를 시행하는 것도 결국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게 아니냐”면서 “항생제를 쓰지 못해 수술후 감염으로 인해 환자가 사망하면 복지부가 책임질 건지 묻고 싶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그간 의료서비스와 임상질 등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를 아끼지 않았지만 남는 게 아무 것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일부 평가지표의 경우 현실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모 대학병원 교수는 23일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의료기관평가 후 병원에 돌아온 게 뭐냐”고 따져 물었다.
그는 “의료기관평가를 받기 위해 병원의 전직원들이 1년여간 시설을 개선하고, 의료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고생했는데 복지부는 평가결과를 공개한 것 외에 병원에 해 준 건 아무 것도 없다”면서 “도대체 누구를 위해 이런 평가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또다른 대학병원 교수도 이와 비슷한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의료기관평가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지 않을 수 없는 게 현실인데 우수평가를 받았다고 해서 복지부로부터 인센티브가 나오는 것도 아니고 소모적인 순위경쟁만 초래하고 있다”고 못 박았다.
제2기 의료기관평가부터 도입된 임상질지표 평가에 대해서도 비판이 나오고 있다.
임상질지표 평가 결과 폐렴 부문은 4개 지표를 종합한 평균점수가 94.6점이었고, 90점 이상(A)을 충족한 병원이 83개 병원 중 69개(83.1%)에 달했다.
중환자 부문 역시 시범지표 2개를 제외한 3개 지표의 평균점수가 98.6점으로 나왔고, 90점 이상 충족한 병원이 84개 중 80개(95.2%)로 매우 높았다.
반면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 부문은 시범지표인 수술 완료후 예방적 항생제 투여중단 시간을 제외한 2개 지표의 평균점수가 79.7점, 90점 이상 충족한 병원이 조사대상 75개 병원 가운데 19개(25.3%)에 불과했다.
특히 ‘피해야 할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 미사용 비율’은 평균 66.5%에 지나지 않았고, 조사대상 75개 병원 중 90% 이상을 충족한 병원이 11개(14.7%)인 것으로 집계돼 의료기관의 현실과 상당한 괴리를 드러냈다.
실제 A병원은 피해야 할 수술 감염 예방적 항생제를 사용한 것 때문에 B등급으로 떨어져 임상질지표 평가에서 전부문 A등급을 놓치자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은 경제적 손실 외에도 부작용, 내성균 출현 등을 야기하고, 애초에 기대했던 수술 감염 예방 효과도 얻지 못한다는 게 복지부의 입장이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아직 의학계에서 예방적 항생제 진료지침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복지부가 획일적 잣대를 적용하는 것은 현실을 모르는 소리라고 반박하고 있다.
이 병원 관계자는 “우리 병원으로 전원해 올 당시 항생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돼 수술후 임상의사의 판단에 따라 불가피하게 좀 더 강한 것을 투여한 것인데 이를 피해야 할 항생제로 규정해 점수를 깎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질타했다.
그는 “의료기관평가를 시행하는 것도 결국 환자의 생명을 보호하기 위한 게 아니냐”면서 “항생제를 쓰지 못해 수술후 감염으로 인해 환자가 사망하면 복지부가 책임질 건지 묻고 싶다”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