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정비-특허만료 중복인하 효과…신약개발 의지 저하

박근혜 의원은 7일 열린 복지부 국정감사에서 "특허가 남아있는 의약품까지 목록정비를 대상에 포함할 경우, 목록정비시 약가가 한번 조정되고 특허만료시 20%가 추가 인하되는 불합리성이 있다"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특히 박 의원은 이 같은 조치가 제약사들의 R&D 투자의지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 의원은 "기등재 목록정비와 특허만료로 이중인하를 받을 경우 약가가 되려 제네릭보다 낮아질 수도 있다"면서 "이렇게 되면 제약사들이 신약개발보다는 제네릭 생산에 주력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특허가 남아있는 의약품에 대해 목록정비를 한시적으로 유보하고, 특허가 끝난 뒤에 시행을 한다면 제약사들의 신약개발 의지를 꺽지 않고, 약제비도 적정화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재희 장관은 "무리한 인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법을 찾겠다"고 답변했다.
전 장관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는 특허가 남아 있는 의약품에 대해 목록정비를 유보하는 방법도 있고, 이중으로 중복 인하지 않는 방안도 있다"면서 "무리한 인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법을 찾아, 새로 올 심평원장에게도 이야기 해 두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