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가정의학과·산부인과·외과 등 미표시 속출
"이름을 감춰라?"
'개원 기피과목'들을 중심으로 전문과목 미표시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오랜 수련기간을 거쳐 전문의 자격을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름을 버리는 의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규개원한 전문의 3명 중 1명이 전문과목 표시를 포기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1~6월 전문의 명의로 신규개설된 의원 1307개소 가운데 32.5%인 425개소가 'ㅇㅇ 외과' 'ㅇㅇ 산부인과' 등 전문과목 대신 'ㅇㅇ의원'이라는 간판으로 문을 연 것.
이 같은 현상은 이른바 '개원 기피과목'들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실제 상반기 전문과 미표시를 택한 의원들을 과목별로 분류해 본 결과 가정의학과와 산부인과, 외과가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문과목 포기가 가장 많았던 과목은 가정의학과로 상반기에만 무려 138명의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전문과목 없이 '일반의' 형태로 개원시장에 신규진입했다.
아울러 산부인과 전문의 78명, 외과 52명 등도 전문과 미표시를 선택해 신규 개원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비뇨기과(32명),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25명) 등에서도 상대적으로 미표시가 많았다.
한편 전통적으로 개원시장에서 강세를 보여왔던 소아청소년과와 내과, 정형외과 등에서도 일부 미표시 의원들이 눈에 띄었다. 올해 상반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3명, 내과 11명, 정형외과 4명 등이 전문과목 표시없이 개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미표시 현상이 '개원시장의 불황'을 보여주는 또 다른 단면이라고 설명한다.
의료컨설팅업체 한 관계자는 "전통적인 인기과목들조차 휘청거리는 상황이다보니 자신의 과목으로 개원할 경우,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불안감에서 미표시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과거 전문과목으로 개원했다 실패, 일반의원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상당수"라면서 "의료가 갈수록 고도화, 전문화되고 있다지만 개원시장에서 만큼은 생존을 위한 '탈 전문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개원 기피과목'들을 중심으로 전문과목 미표시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오랜 수련기간을 거쳐 전문의 자격을 취득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원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름을 버리는 의원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얘기다.
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규개원한 전문의 3명 중 1명이 전문과목 표시를 포기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 1~6월 전문의 명의로 신규개설된 의원 1307개소 가운데 32.5%인 425개소가 'ㅇㅇ 외과' 'ㅇㅇ 산부인과' 등 전문과목 대신 'ㅇㅇ의원'이라는 간판으로 문을 연 것.
이 같은 현상은 이른바 '개원 기피과목'들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실제 상반기 전문과 미표시를 택한 의원들을 과목별로 분류해 본 결과 가정의학과와 산부인과, 외과가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문과목 포기가 가장 많았던 과목은 가정의학과로 상반기에만 무려 138명의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전문과목 없이 '일반의' 형태로 개원시장에 신규진입했다.
아울러 산부인과 전문의 78명, 외과 52명 등도 전문과 미표시를 선택해 신규 개원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비뇨기과(32명),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25명) 등에서도 상대적으로 미표시가 많았다.
한편 전통적으로 개원시장에서 강세를 보여왔던 소아청소년과와 내과, 정형외과 등에서도 일부 미표시 의원들이 눈에 띄었다. 올해 상반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13명, 내과 11명, 정형외과 4명 등이 전문과목 표시없이 개원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미표시 현상이 '개원시장의 불황'을 보여주는 또 다른 단면이라고 설명한다.
의료컨설팅업체 한 관계자는 "전통적인 인기과목들조차 휘청거리는 상황이다보니 자신의 과목으로 개원할 경우,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없다는 불안감에서 미표시를 선택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특히 그는 "과거 전문과목으로 개원했다 실패, 일반의원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상당수"라면서 "의료가 갈수록 고도화, 전문화되고 있다지만 개원시장에서 만큼은 생존을 위한 '탈 전문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셈"이라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