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 한양대 등 속속 명퇴제 도입…실효성 관심집중
최근 경제한파로 경영이 어려워진 대학병원들이 직원들에게 명예퇴직을 종용하며 몸집 줄이기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상당한 규모의 위로금을 당근으로 내걸었음에도 신청은 저조한 상태이며, 일부 병원에서는 도입을 놓고 노사간 극한 갈등을 빚고 있어 명퇴제가 향후 병원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중앙대의료원은 최근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들 중 퇴직을 10년 미만 앞둔 사람들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았다.
지난해 두산에 편입된 후 최초로 이뤄지는 구조조정인 셈. 의료원측은 강제성이 없는 자율적인 신청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본격적인 개혁에 앞서 조직을 개편하려는 의도는 분명하다는 것이 내부의 분위기다.
이를 위해 의료원은 위로금조로 상당한 조건도 내걸었다. 명퇴 후 5년간 연봉의 50%를 지급할 것을 보장한 것. 또한 직급에 따른 특별위로금도 준비됐다.
하지만 접수결과 스스로 병원을 나가겠다고 신청한 사람은 5명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의료원은 다소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는 상황. 예상했던 것보다 신청자가 너무 저조했기 때문이다.
의료원 관계자는 26일 "당초 예상보다 신청자가 저조한 것 같다"며 "하지만 강제적인 감원은 없다는 것이 기본방침"이라고 말했다.
한양대의료원도 최근 명예퇴직제를 도입했다. 그러나 중대의료원에 비해서는 상당히 강제성을 갖고 있다.
우선 근속년수 20년 이상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신청자를 받고 만약 예상인원에 미달될 시 직급별 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공포한 것.
의료원 관계자는 "지금은 경영위기를 넘기 위해 병원구성원 모두가 고통을 분담해야 하는 시기"라며 "병원 운영 정상화와 재도약 발판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전했다.
그러자 노조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왜 직원들만 고통을 감수해야 하느냐는 불만이다.
노조 관계자는 "직급별 상한제 도입은 강한 구조조정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라며 "병원이 비전을 제시하지도 않은 채 직원들에게 일방적으로 고통분담만을 요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위기타계와 개혁을 위해 병원 경영진이 내놓은 명예퇴직안이 이처럼 별다른 소득을 올리지 못한 채 직원들의 불만만 사고있다는 점에서 과연 명퇴제가 얼마만큼의 실익을 올릴 수 있을지, 또한 그 결과가 타 병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가 주목된다.
하지만 상당한 규모의 위로금을 당근으로 내걸었음에도 신청은 저조한 상태이며, 일부 병원에서는 도입을 놓고 노사간 극한 갈등을 빚고 있어 명퇴제가 향후 병원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중앙대의료원은 최근 20년 이상 근속한 직원들 중 퇴직을 10년 미만 앞둔 사람들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았다.
지난해 두산에 편입된 후 최초로 이뤄지는 구조조정인 셈. 의료원측은 강제성이 없는 자율적인 신청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본격적인 개혁에 앞서 조직을 개편하려는 의도는 분명하다는 것이 내부의 분위기다.
이를 위해 의료원은 위로금조로 상당한 조건도 내걸었다. 명퇴 후 5년간 연봉의 50%를 지급할 것을 보장한 것. 또한 직급에 따른 특별위로금도 준비됐다.
하지만 접수결과 스스로 병원을 나가겠다고 신청한 사람은 5명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의료원은 다소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는 상황. 예상했던 것보다 신청자가 너무 저조했기 때문이다.
의료원 관계자는 26일 "당초 예상보다 신청자가 저조한 것 같다"며 "하지만 강제적인 감원은 없다는 것이 기본방침"이라고 말했다.
한양대의료원도 최근 명예퇴직제를 도입했다. 그러나 중대의료원에 비해서는 상당히 강제성을 갖고 있다.
우선 근속년수 20년 이상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신청자를 받고 만약 예상인원에 미달될 시 직급별 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공포한 것.
의료원 관계자는 "지금은 경영위기를 넘기 위해 병원구성원 모두가 고통을 분담해야 하는 시기"라며 "병원 운영 정상화와 재도약 발판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전했다.
그러자 노조는 크게 반발하고 있다. 왜 직원들만 고통을 감수해야 하느냐는 불만이다.
노조 관계자는 "직급별 상한제 도입은 강한 구조조정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라며 "병원이 비전을 제시하지도 않은 채 직원들에게 일방적으로 고통분담만을 요구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편, 위기타계와 개혁을 위해 병원 경영진이 내놓은 명예퇴직안이 이처럼 별다른 소득을 올리지 못한 채 직원들의 불만만 사고있다는 점에서 과연 명퇴제가 얼마만큼의 실익을 올릴 수 있을지, 또한 그 결과가 타 병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