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논문 31개 메타분석…"천연물질과 효과 달라"
제약업체 등에서 판매중인 항산화제가 암 예방효과가 없다는 연구결과가 제기돼 주목된다.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명승권, 김열)는 28일 “과일이나 채소가 아닌 항산화 보충제를 통한 비타민류의 섭취가 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85년부터 2007년까지 국제학회지에 발표된 항산화 보충제의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본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22개(31개 논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이다.
연구팀은 펩메드와 엠베이스 및 코크런을 통한 문헌검색을 통해 16만명의 연구대상자 중 8만 8000명의 항산화 보충제 사용군과 7만 200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비타민 A와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및 셀레늄 등의 항산화 보충제를 이용한 사용군은 대조군에 비해 암 발생 상대위험도가 0.99(95% 신뢰구간, 0.96~1.0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아래 그래프 참조>
또한 항산화 보충제의 종류와 암의 종류, 개별연구의 질적 수준에 따른 하위그룹 메타분석에서도 예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오히려 항산화 보충제의 사용이 방광암의 발생을 1.52배(95% 신뢰구간, 1.06~2.17)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1저자인 명승권 전문의(가정의학과)는 “정상인과 암환자의 암 예방 모두에서 항산화 보충제는 효과가 없었다”면서 “셀레늄의 경우, 앞으로 발표될 추가 연구결과를 종합한다면 암 예방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항산화 보충제가 천연이 아닌 합성제제라는 점에서 과일이나 채소에서 발견되는 천연 항산화물질이 인체에서 나타내는 효과와 다르다는 것”이고 언급하고 “일례로, 베타카로틴 보충제는 흡연자가 복용시 폐암발생을 높인다고 세계암연구재단·미국암연구기구(WCRF/AICR)를 경고하고 있다”고 연구결과의 의미를 강조했다.
연구팀은 다만, “개별 임상시험에서 사용된 일일 항산화 보충제의 용량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항산화보충제의 일일 용량에 비해 많게는 수 십배 높았다”며 연구의 제한점을 덧붙였다.
이번 논문은 종양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Annals of Oncology’ 온라인판 7월 21지로 게재됐다.
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명승권, 김열)는 28일 “과일이나 채소가 아닌 항산화 보충제를 통한 비타민류의 섭취가 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1985년부터 2007년까지 국제학회지에 발표된 항산화 보충제의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본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22개(31개 논문)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결과이다.
연구팀은 펩메드와 엠베이스 및 코크런을 통한 문헌검색을 통해 16만명의 연구대상자 중 8만 8000명의 항산화 보충제 사용군과 7만 2000명의 대조군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 비타민 A와 비타민 E, 베타카로틴 및 셀레늄 등의 항산화 보충제를 이용한 사용군은 대조군에 비해 암 발생 상대위험도가 0.99(95% 신뢰구간, 0.96~1.03)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아래 그래프 참조>
또한 항산화 보충제의 종류와 암의 종류, 개별연구의 질적 수준에 따른 하위그룹 메타분석에서도 예방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오히려 항산화 보충제의 사용이 방광암의 발생을 1.52배(95% 신뢰구간, 1.06~2.17) 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1저자인 명승권 전문의(가정의학과)는 “정상인과 암환자의 암 예방 모두에서 항산화 보충제는 효과가 없었다”면서 “셀레늄의 경우, 앞으로 발표될 추가 연구결과를 종합한다면 암 예방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항산화 보충제가 천연이 아닌 합성제제라는 점에서 과일이나 채소에서 발견되는 천연 항산화물질이 인체에서 나타내는 효과와 다르다는 것”이고 언급하고 “일례로, 베타카로틴 보충제는 흡연자가 복용시 폐암발생을 높인다고 세계암연구재단·미국암연구기구(WCRF/AICR)를 경고하고 있다”고 연구결과의 의미를 강조했다.
연구팀은 다만, “개별 임상시험에서 사용된 일일 항산화 보충제의 용량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항산화보충제의 일일 용량에 비해 많게는 수 십배 높았다”며 연구의 제한점을 덧붙였다.
이번 논문은 종양학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Annals of Oncology’ 온라인판 7월 21지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