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보건산업기술과 맹호영 과장
“연구중심병원은 궁극적으로 국가브랜드와 병원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확신합니다.”
보건복지가족부 보건산업기술과 맹호영 과장(사진)은 연구중심병원 정책이 지닌 의미를 이같이 피력했다.
복지부는 최근 임상시험과 기술확산, 지식창출, 산업화 등 연구중심병원 육성을 통한 경제력 확보를 기반으로 ‘2015 아시아 Big 5, 2020 글로벌 Big 10’ 진입을 추진한다는 세부전략을 발표했다.
맹호영 과장은 “미국 등 선진국은 연구병원마다 수 천 억원의 예산이 투자되고 있으나 우리는 아직 열악한 상황”이라면서 “이런 점에서 연구중심병원 정책이 처음부터 가시적 그림을 갖고 출발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맹 과장은 “병원들이 연구중심병원이 지닌 의미와 전망을 면밀히 파악해 보면 장기적으로 투자가 낭비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고 “의료수준과 병상 수 등은 세계적 수준이나 논문 등 의학적 기여도는 미흡하다”며 연구중심병원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2008년부터 시작된 혁신형(선도형) 연구중심병원 사업이 개별 연구자에게 초점이 맞춰졌다면 연구중심병원은 병원 전체를 연구 분위기로 전환시키는 정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맹호영 과장은 “병원 선정 방안은 선택과 집중, 지역적 균형 등을 균형감 있게 배려할 계획”이라며 “5월말 연구중심병원 육성 최종안이 확정되면 기재부와 내년도 예산책정을 위한 본격적인 협의에 돌입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맹 과장은 “우수인력을 갖춘 한국 의료의 특성상 병원의 연구역량 강화는 충분히 가능하다”면서 “성장동력을 위한 연구중심병원의 정부 추진방향에는 변함이 없는 만큼 인내를 갖고 지켜봐 달라”며 병원계의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복지부는 최근 임상시험과 기술확산, 지식창출, 산업화 등 연구중심병원 육성을 통한 경제력 확보를 기반으로 ‘2015 아시아 Big 5, 2020 글로벌 Big 10’ 진입을 추진한다는 세부전략을 발표했다.
맹호영 과장은 “미국 등 선진국은 연구병원마다 수 천 억원의 예산이 투자되고 있으나 우리는 아직 열악한 상황”이라면서 “이런 점에서 연구중심병원 정책이 처음부터 가시적 그림을 갖고 출발하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맹 과장은 “병원들이 연구중심병원이 지닌 의미와 전망을 면밀히 파악해 보면 장기적으로 투자가 낭비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하고 “의료수준과 병상 수 등은 세계적 수준이나 논문 등 의학적 기여도는 미흡하다”며 연구중심병원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피력했다.
그는 “2008년부터 시작된 혁신형(선도형) 연구중심병원 사업이 개별 연구자에게 초점이 맞춰졌다면 연구중심병원은 병원 전체를 연구 분위기로 전환시키는 정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맹호영 과장은 “병원 선정 방안은 선택과 집중, 지역적 균형 등을 균형감 있게 배려할 계획”이라며 “5월말 연구중심병원 육성 최종안이 확정되면 기재부와 내년도 예산책정을 위한 본격적인 협의에 돌입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맹 과장은 “우수인력을 갖춘 한국 의료의 특성상 병원의 연구역량 강화는 충분히 가능하다”면서 “성장동력을 위한 연구중심병원의 정부 추진방향에는 변함이 없는 만큼 인내를 갖고 지켜봐 달라”며 병원계의 지속적인 협조를 당부했다.